최근 북중 국경지역에서 내부 정보가 외부로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북한 보안기관들이 중국 휴대전화 사용자들을 강력하게 단속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영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2월 8일 북한 양대 보안기관이 반체제 세력에 대한 보복성전을 개시한 이래 북부 국경지역에서 휴대전화 단속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함경북도 회령시 가족들과 연락하고 있는 탈북여성 김춘화(가명. 46세)씨는 보안원들이 중국 휴대전화를 몰래 쓰는 사람들에게 자수를 강요하고 있다고 17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전화기를 다 내놓으라고 합니다. 한국에 전화한 사람을 시범으로 총살한다고 하면서 난리가 아니라고 합니다. 그래서 가족들이 가끔 전화를 하겠다고 했는데, 지금 10일째 전화를 못하고 있어요.”
2년 전에 탈북해서 한국에 정착한 김춘화 씨는 북한의 가족들에게 생활비를 조금씩 보태주고 있었지만, 화폐개혁 이후 쌀값이 너무 오른다고 걱정하는 가족들과 최근 연락이 두절되자, 혹시 전화 때문에 보안서에 잡혀가지 않았는지 걱정된다고 말했습니다.
김 씨는 지난 2월초부터 보안서가 중국 휴대전화 소지자들에게 자수를 강요한다는 이야기를 가족으로부터 들었다면서 사람들이 보안서에 자수하면 감시가 더 심해지기 때문에 아예 휴대폰을 버리거나 땅에 묻어버린다고 말했습니다.
5년 전에 한국에 나온 탈북자 서명식(가명. 37세)씨도 양강도 혜산에 있는 가족과의 전화통화에서 "지금까지 (한국이나 중국에)전화했던 사람도 자수하면 용서받지만 이제 쓰다 걸리면 용서 없다"며 보안서가 전화기 사건을 ‘간첩사건’으로 몰아 처리하겠다고 분명히 밝혔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함께 북한 국가안전보위부는 전화 통화자들을 적발하기 위해 외국에서 비싸게 반입한 감청장비를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보위부 27국 전파탐지 기동대들은 감청장비를 가지고 관내 지역을 순찰하다 전파가 걸리면 그 속에서 이름이나 별명 등 인적사항을 파악하고 집을 수색한다고 서명식 씨는 말했습니다.
"전화하는 것, 라디오 방송 듣는 것, 녹화기 보는 것 때문에 저녁에 보위부 정치대학 학생들이 가택수색까지 하고 있습니다. 지금 막 선풍이 불었습니다."
때문에 국경주민들은 북한 보위부의 이러한 감청장비를 두려워하면서 전화 통화 과정에 가족의 이름이나, 별명, 지역 이름 등을 절대로 부르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다고 서 씨는 말했습니다.
한편 국가안전보위부는 비밀 정보원들을 총 동원해 한국의 탈북자들과 연결된 내부 연락선들을 들춰내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보위부는 비밀 정보원 숫자를 대폭 증가하고 의심대상에 대해 밀착감시를 붙이고, 어디에서 어디로 전화하는지를 파악하고 현장 체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3월 초 함경북도 회령시 보위부는 한국과 전화통화한 혐의로 40대 초반의 김모 주민을 현장 체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체포된 김모 주민은 중국 전화기를 가지고 탈북자들이 보내는 돈을 중개해주고 화폐개혁 이후 상황을 말해주다가 보위부의 매복에 걸려 두만강 변에서 체포되었다고 현지 주민들이 최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그가 체포된 지 며칠 후에 담당 보안원이 인민반 회의에서 “김모 놈이 공화국 비밀을 빼내다가 해당기관(보위부 지칭)에 적발됐다"고 말하는 것으로 봐서 그를 간첩으로 몰아 시범사례로 처벌할 가능성이 높다고 그곳 주민들은 덧붙였습니다.
휴대폰을 전문 단속하는 기동순찰대들은 벌판이나 산속에서 전화하는 사람들을 단속하기 위해 오토바이를 타고 순찰하고 있으며 수상한 주민들을 발견하면 단속하고 휴대폰을 찾기 위해 몸을 수색한다고 소식통들은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