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이 5차 핵실험을 강행하면서 남한의 정치권도 긴박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여야는 각각 긴급회의를 여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한의 정치권은 북한의 핵실험을 한목소리로 비판했습니다.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등 여야 3당 지도부는 국회 차원에서 북한 핵실험을 규탄하는 결의안을 제출하고 오는 20일 본회의에서 처리하기로 했습니다.
여야 3당은 9일 오전 기존 일정을 취소하고 긴급안보대책회의를 각각 개최하는 등 긴박하게 움직였습니다. 여당인 새누리당은 이날 오후 12시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대책을 논의했습니다.
염동열 새누리당 수석대변인은 "북한의 핵실험은 핵이 소량화 경량화로 발전하면서 위협 단계를 넘어 위기가 현실화됐음을 확인했다"면서 “우리로서도 비상한 대응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지경"이라고 말했습니다.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는 앞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사안이 너무 위중하고 심각하다”고 밝혔습니다. 이 때문인지 일부 의원들은 북한의 핵실험에 맞서 ‘핵무장론’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도 이날 오전 11시 지도부와 외교·안보 관련 상임위가 참석하는 대책회의를 소집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자 한반도와 동북아의 안전과 평화를 위협하는 도발적 행위로 강력히 규탄한다"고 논평했습니다.
제2야당인 국민의당은 “어떠한 이유로도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행위는 정당화될 수 없다"며 발 빠르게 반응했습니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북한의 5차 핵실험은 백해무익한 도발”이라며 “한반도 평화는 물론 전 세계 평화를 해치는 일로 마땅한 대가를 치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여야는 이날 오후 2시 정보위 전체회의와 3시 외통위 전체회의, 그리고 4시 국방위 전체회의를 각각 열고 상임위원회 차원의 상황 파악과 대책 논의도 이어 나갔습니다.
이철우 국회 정보위원장: 그러면 계속 북한에서 이렇게 하는데 우리는 어떤 조치를 취할 것이냐, 억제력이 무엇이냐, 국민을 어떻게 안심시키느냐, 이런 데 대한 질문이 많이 있었습니다.
핵실험 파장은 당분간 남한 정국을 긴장시킬 전망입니다. 쟁점법안을 둘러싼 여야의 첨예한 대치는 일단 수면 아래로 내려가고 핵실험 대응책 마련을 위한 정책 토론회와 간담회 등을 개최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