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 반응] 핵실험에 대한 중국 일본 반응

0:00 / 0:00

앵커 : 북한의 5차 핵실험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반응도 주목됩니다. 양국은 9일 각각 성명을 내고 북한의 핵실험 중단을 촉구했습니다.

서울에서 이예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9일 전격적으로 5차 핵실험을 감행한 것이 동북아 지역의 정세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북한 핵실험으로 가장 이목을 끈 곳은 역시 중국입니다. 중국은 9일 오후 이례적으로 긴급 성명을 내고 “북한이 국제사회의 보편적 반대에도 불구하고 추가 핵실험을 실시한 데 대해 중국 정부는 견결한 반대를 표한다”고 밝혔습니다.

중국은 또 북한을 향해 “비핵화 약속을 이행하고 유엔 안보리의 관련 결의를 성실히 준수하며 형세를 악화시키는 행동을 중지하라”고 촉구했습니다. 그러면서 “유엔 안보리 관련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은 지난 4차 핵실험 때는 중국에 사전 통보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번 5차 핵실험 때는 북중관계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전 통보가 이뤄졌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일본은 9일 오전 북한의 핵실험 가능성을 확인한 뒤 곧바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하고 정보 수집 및 분석에 나서는 등 발 빠르게 대응했습니다. 마침 이날 새벽 아베 총리가 라오스 동아시아 정상회의를 마치고 귀국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중국 베이징의 외교 통로(채널)를 통해 북한에 엄중히 항의하고 한국·미국 등과 연대해 단호히 대처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지난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자체적으로 부과했던 송금과 입국 제한 등의 독자 대북제재도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일본 정치권은 자민당의 안토니오 이노키 의원 등이 8일부터 평양을 방문하고 있어 이들을 통해 추가 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