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북한의 5차 핵실험을 가장 강력한 어조로 규탄한다면서 북한을 결코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오바마 대통령은9일 오전 대변인 성명을 통해 북한의 핵실험은 지역 안보와 세계 평화, 안정에 대한 중대한 위협이라면서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현재는 물론 앞으로도 결코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다짐했습니다.
또 북한의 위험한 행동에는 대가가 뒤따른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 기존의 유엔 제재 결의를 적극 이행하는 것은 물론 새로운 대북 제재를 포함한 추가적인 중대 조치를 취하기로 한일 양국 정상과 합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동맹국인 한일 양국을 지키기 위해 사드, 즉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한반도 배치와 확장 핵억지력 제공 등 미국의 흔들림 없는 방위 공약을 한일 양측에 재차 강조했다고 밝혔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또 자신은 미국의 최고 사령관으로서 미국인들의 안전을 보호하고 북한의 위협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을 선도할 책임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은 핵미사일 도발을 통해 국가 안보와 경제 발전 목표를 달성하기는 커녕 자국민을 고립시키고 가난하게 만들 뿐이며 유엔 안보리 결의의 노골적인 위반은 북한이 국제사회의 책임있는 일원이 될 의도가 없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앞서 아시아 순방을 마치고 귀국길에 오른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9일 북한의 핵실험 상황을 보고받고 북한이 도발에 대해‘ 심각한 대가(serious consequences)’를 치르도록 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백악관의 조시 어니스트 대변인은 대통령 전용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오바마 대통령이 박근혜 한국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각각 전화통화를 갖고 대책을 협의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국방부도 9일 북한의 5차 핵실험과 관련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안정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고 규탄했습니다.
노르웨이를 방문 중인 애슈턴 카터 국방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북한 핵실험 등 도발에 대한 중국의 '책임'과 '역할'을 강조했습니다.
카터 장관은 대북 압박을 강화해야 한다고 전제하면서 중국은 북한의 점증하는 도발과 관련한 책임을 공유하고 있고, 이를 되돌릴 중요한 책임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한반도를 비핵화하는 데 있어 중국의 영향력을 활용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피터 쿡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북한의 5차 핵실험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대한 또다른 명백한 위반으로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 아태지역 안정에 상당한 위협을 끼치는 심각한 도발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애슈턴 카터 국방장관이 한국을 비롯해 역내 동맹국들과 긴밀히 접촉중이라고 전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스위스 제네바를 방문한 미국의 존 케리 국무장관도 이날 러시아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의 5차 핵실험 문제를 즉각 유엔 차원에서 다루겠다고 밝혔습니다.
케리 장관은 이번 사안은 한국과 일본, 러시아, 또 중국의 우려를 자아내는 것이며 한일 양국 외교장관과는 이미 심각한 논의를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자리에서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결의는 반드시 이행돼야 한다면서 러시아는 강력한 대북 메시지를 보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국무부의 성 김 대북정책특별대표는 한국 외교부의 김홍균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통화를 통해 북한의 5차 핵실험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고 구체적 대응 방안을 협의했습니다.
양측은 유엔 안보리 차원의 신속하고 강력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