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국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은 15일 북한의 비핵화 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압박 캠페인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은 이날 북한이 정권 유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는 핵무기 개발이 북한의 불안정과 경제적 고립을 자초하고 있다며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유엔 회원국들의 협력을 촉구했습니다.
틸러슨 국무장관 : 미국은 세계를 인질로 삼는 북한 정권의 행동을 용인하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현재도, 앞으로도 북한의 무모하고 위협적인 행동에 대해 책임을 추궁해 나갈 것입니다.
틸러슨 국무장관은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북한의 비확산(UNSC briefing Non-Proliferation/DPRK)’을 주제로 열린 장관급 회의에서 미국은 자국의 방어를 위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해 왔다며 이 같이 말했습니다. 미국은 북한과의 전쟁을 추구하지도, 전쟁을 원하지도 않으며 북한의 도발로부터 지키기 위한 모든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지만, 북핵 문제를 외교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희망을 여전히 갖고 있다는 것입니다.
틸러슨 국무장관 : 북한의 비핵화를 이룰 때까지 대북 압박 캠페인은 계속 되어야 하고, 계속될 것입니다. 그러나 또한 대화의 통로도 열어둘 것입니다.
틸러슨 장관은 그러나 북한과 대화가 시작되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 핵 실험 등 위협적인 행동을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틸러슨 장관 : 앞서 제가 말했듯이 대화가 시작되기 위해서는 위협적인 행동을 일정기간 중단해야 합니다. 북한이 대화 테이블로 나오기 위해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틸러슨 장관은 앞서 미국의 한 정책연구소에서 북한과 ‘조건 없는 대화’를 언급해 선 비핵화·후 대화라는 미국의 대북 정책에 변화가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된 바 있습니다.
틸러슨 장관은 특히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북한 여성과 어린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원을 어렵게 한다는 북한의 주장은 수 십억 달러를 핵과 탄도미사일 개발 프로그램에 사용하는 북한 정권의 위선을 보여준다고 지적했습니다.
틸러슨 장관 : 북한 정권은 선택할 수 있습니다. 불법적인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하고 국제사회에 동참하거나 혹은 주민을 계속해서 가난과 고립에 빠뜨리는 것입니다. 북한 주민의 복지에 대한 궁극적인 책임은 북한 정권에 있습니다.
이날 열린 장관급 회의에서 일본, 한국, 프랑스, 스웨덴, 즉 스웨리예, 영국, 우크라이나 등은 북한이 국제사회의 규범에 위배되는 핵실험 등을 중단하고 유엔 대북제재 결의를 이행하는 한편 의미 있는 비핵화 대화에 나서도록 유엔 회원국들의 압박과 단결된 행동을 촉구했습니다.
한편, 자성남 유엔주재 북한대사는 이날 회의가 북한의 화성-15호 발사 성공으로 핵 무력 완성을 달성한 북한에 대한 두려움을 가진 미국과 일본 등의 획책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자 대사는 또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은 미국의 핵 위협으로부터 자국을 지키기 위해서라며 한반도와 미북 간 긴장상태의 책임을 미국에 돌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