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이 아프리카 국가들과 군사적인 연계를 유지 또는 확대해 나가는 것은 외교적 전략이며, 국제사회가 이를 간과하는 것이 북한의 비이성적 외교 정책을 부추기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정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언론 허핑턴 포스트의 사무엘 라마니 기고가는 20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전화 회견에서 “북한은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해 일관되고도 전략적인 외교 정책을 유지해오고 있다”면서 “아프리카 국가와 군사적으로 양자적 연계를 맺어나가는 것은 반 서구주의, 반 제국주의라는 공통점에 기반해 동맹을 유지 및 확대하는 김정은 정권 책략의 일환”이라고 전했습니다.
그는 이어 “북한이 아프리카의 전략적 동맹국들과 유대를 강화하는 것은 (문화, 기술, 학문 등을 포함하는 개념인) 소프트 파워의 강화와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군수 분야 생산성의 강화라는 두 가지 전략적 동기에 기반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특히, 북한이 냉전 때부터 계속 되어온 ‘반제국주의’를 바탕으로 관계를 강화해 온 아프리카 국가들로 앙골라와 에티오피아를 지적하고, 북한이 이들과 군사, 문화,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 관계를 유지해오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지난달 앙골라가 유엔 결의를 위반하고 잠수함 엔진 등 군사 장비 등을 제공한 사실이 드러났고, 비슷한 군사 장비 계약들이 우간다, 탄자니아 등 동아프리카 국가들과 맺어지고 있다며 북한의 대 아프리카 전략의 확대를 우려했습니다.
사무엘 라마니 : 북한은 특히, 앙골라, 에티오피아와 깊은 관계를 맺어오고 있습니다. 이 두 나라와의 관계는 냉전 시대부터 계속 돼온 '반 서구주의' '반제국주의' 를 바탕으로 점점 더 단단해져 가고 있습니다.
라마니 기고가는 최근 “아프리카 지역에서의 북한의 군사적인 연계가 서방 세계로부터 간과돼 왔으며, 이러한 점이 북한의 비이성적인 외교 정책을 부추기고 있다”고 미국 외교전문 잡지인 ‘디플로맷’에 기고한 글을 통해 주장한 바 있습니다.
그는 이어 아프리카 국가들이 유엔 대북 제재를 철저히 이행하도록 압박한다면 북한의 외교적 전략이 안정성을 잃을 것이라면서, 서방 세계가 북핵 문제에만 신경을 쓸 것이 아니라 북한의 아프리카 책략에도 주목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이에 대해 래리 닉시 박사는 아프리카와 북한 간의 군사적 동맹이 심각한 문제라는 점에 동의하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대북 제재 강화와 함께 이 사건들에 대한 철저한 조사에 착수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닉시 박사는 중국과 러시아 등과의 정치적 관계로 인해 유엔을 통한 제재나 압박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라면서, 유엔 등 국제 사회의 정치적 의지가 필수적임을 재차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