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문 대통령에 ‘공세적 전쟁수행’ 보고

0:00 / 0:00

앵커 : 한국의 국방부는 28일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업무보고에서 한반도 전쟁수행 개념의 변화와 북한 핵·미사일 도발에 따른 대응 등을 집중적으로 보고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후 국방부로부터 취임 후 첫 업무보고를 받았습니다. 이날 국방부 업무보고에서 가장 눈길을 끈 것은 한반도 전쟁수행 개념의 변화입니다.

서주석 국방부 차관: 한국군이 주도하는 공세적 전쟁수행개념 '하우 투 파이트(How to figh)' 개념을 정립하고 새로운 작전개념이 적극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부대구조, 전력구조, 지휘체계 등 군 구조를 재설계해 나갈 것입니다.

‘공세적인 전쟁수행’ 개념과 관련해 송영무 국방부 장관은 장관 후보자 시절 언론 회견에서 “유사시 방어에 집중하다가 미국 증원전력의 지원으로 반격하는 기존 작전 개념을 탈피해 초기부터 첨단전력으로 적의 지도부를 궤멸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국방부의 전쟁수행 개념 변화 시도는 문재인 정부의 인수위원회 격인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지난달 19일 발표한 국방분야 국정운영 과제 ‘전시작전통제권 조기 전환’과 맥을 같이합니다.

국방부는 또 이날 업무보고에서 북한 핵·미사일 도발에 대한 대응 방안도 제시했습니다. 특히 미사일 방어 차원에서 킬체인, KAMD, KMPR 등 한국형 3축 체계를 조기에 구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서주석 국방부 차관: 저희가 최대한 조기 구축에 노력해서 2020년대 초반에는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대통령 후보시절부터 국방개혁을 강조한 문 대통령은 이날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압도적 국방력으로 북한의 도발에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현대전에 맞는 군 구조개혁도 주문했습니다.

이날 업무보고는 간단한 보고 후 자유토론 방식으로 진행됐습니다. 토의에는 이낙연 국무총리, 송영무 국방부장관, 피우진 국가보훈처장을 비롯해 주요인사 180여 명과 육해공군 경계부대 등에서 근무하는 모범장병이 참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