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상투적인 주장 즉각 철회해야”

0:00 / 0:00

앵커: 한국 정부는 "대화를 원한다면 안보리 제재부터 철회하라"는 북한의 요구에 대해 "상투적이고 부당한 주장을 즉각 철회해야 한다"며 반박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측은 18일 국방위원회 정책국 성명을 내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부터 철회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진실로 대화와 협상을 바란다면” 그렇게 하라는 겁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으로 동북아의 안정을 저해할 때마다 대북 제재 결의를 채택한 바 있습니다.

한국 외교부의 조태영 대변인은 북측의 제재 철회 요구와 관련해 강한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조태영 외교부 대변인: 북한의 주장은 참으로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어불성설이고, 심지어는 적반하장이라는 단어까지 생각이 납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주장을 중단하고, 우리가 그동안 누차 이야기 한 바 있는 현명한 선택의 길로 나아가기를 다시 한 번 강력히 촉구하고자 합니다.

북측의 국방위원회 정책국 성명은 "지속적으로 가증돼온 미국의 대조선 적대시 정책과 핵공갈에 대처해 부득이하게 갖추게 된 것이 정당한 자위적 핵무력"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한국의 통일부 당국자는 "오늘의 엄중한 상황이 자신들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에 기인한다는 점을 북한은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을 것"이라면서 "상투적이고 부당한 주장을 즉각 철회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또 북한의 대남기구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가 18일 "적대행위가 계속되는 한 남북대화는 절대 없을 것"이라고 말한 데 대해서도 “무책임한 반응”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조평통의 담화는 "한국과 미국이 요구한 대화의 의미나 의도를 외면한 반응"이라는 겁니다.

한국 정부는 개성공단의 정상화를 위해, 그리고 미국 정부는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북한에 대화를 제의한 바 있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한국이나 국제사회가 북측의 주장처럼 체제에 대해 위협을 하거나 침략을 한다는 것이 전혀 아니란 건 스스로도 잘 알 것"이라며 "무리한 억지 주장을 더 이상 하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