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핵 미사일 증강에 경계 태세 갖춰야”

0:00 / 0:00

MC: 북한의 핵 미사일이 증강될수록 미국이 경계 태세를 늦추지 말고 방어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들이 주장했습니다. 정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워싱턴DC에서23일 아산정책연구원 주최로 열린 '북한 위협에 대한 새로운 평가' 라는 주제의 학술 회의에서는 북한의 핵 미사일 프로그램의 증강에 대한 우려와 이에 대한 방어 체계의 중요성이 강조됐습니다.

이 날 밴 잭슨(Van Jackson) 신안보센터 연구원은 미국이 북한의 핵 위협으로 인한 상황이 더 악화되기 전에 무언가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잭슨 연구원은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가 북한 위협을 완전히 해결할 순 없지만, 위협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라면서 이같이 설명했습니다.

잭슨 연구원은 어느 정도의 재정 범위 내에서는 더 많은 미사일 방어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유리하며, 가능한 한 한국과 미국이 통합 체계로 운영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습니다.

신창훈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북한은 목적을 가지고 위험과 불확실성을 감수하는 데 아주 능하며, 심지어 이를 즐긴다면서 방어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신 연구 위원은 이어, 한반도는 북한의 핵 미사일 증강의 위협으로부터의 위험에 항상 노출돼 있다면서 남한과 북한 중 누가 현재 더 강력한 군사력을 가지고 있느냐가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한계를 알 수 없는 북한의 핵무력 증강이 문제라고 설명했습니다. 북한 핵 미사일의 위험도 측정 자체가 방어 체계를 고려할 때 가장 관건이 되는 점은 아니라는 설명입니다.

신창훈 연구위원 : 북한의 핵 미사일 증강의 위험성을 고려할 때, 도발의 가능성이 얼마나 크냐가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북한은 언제든 예측하기 힘든 놀라운 공격을 할 준비가 돼 있습니다.

미국 국방부 부차관보 출신인 대니얼 츄 (Daniel Y. Chiu) 애틀랜틱 카운슬 연구원은 북한이 핵 미사일 증강뿐만 아니라 다른 전통적인 방법과 병행해 도발을 할 가능성도 있다면서 이러한 다양한 경우를 생각해 방어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전했습니다.

츄 연구원은 사드의 한반도 배치에 강력히 반대하는 중국을 향해서는 과도한 개입이라고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