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불필요한 대남도발 자제 주문”

0:00 / 0:00

앵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가 지난해 대남협상을 위해 군부에 도발을 자제하라고 지시를 내렸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군부가 이를 어기고 서해사건을 일으키자, '최고사령관 명령 불복죄'를 씌워 군 장성을 처벌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영기자가 보도합니다.

외부지원이 절실한 북한이 대남관계에서 돌파구를 찾으려는 시도가 있었다고 북한 내부 사정에 밝은 소식통이 전해왔습니다.

최근 연락이 된 북한 소식통은 "지난해 10월 김정은이 서해 지구에서 불필요한 대남도발을 자제하라는 지시를 내렸다"면서 "이는 남한과의 충돌을 피하고 지원을 얻어내려는 의도였다"고 29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북한군 4군단을 비롯한 서해 전방 부대에는 서해 NLL, 즉 북방한계선을 넘지 말라는 최고사령관의 지시가 하달되는 등 북한에서 남북관계 개선을 꾀하는 일련의 움직임이 나타났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소식통은 "김정은이 남한과의 관계개선을 은연중 바라고 있는데 군부가 제멋대로 행동해 '서해사건'이 터졌다"면서 "당시 명령전달을 잘 하지 않아 서해사건을 초래한 것으로 알려진 변인선 인민군 총참모부 작전국장을 '최고사령관 명령불복죄'로 몰아 11월에 처형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변인선 작전국장은 북한군 육해공군을 총괄 지휘하는 총참모부 제1부총참모장 겸 작전국장으로 2013년 8월까지 인민군 4군단장을 맡았던 군부강성 파였습니다.

김정은 제1비서는 지난해 8월 평양 애육원과 육아원을 찾는 등 '민심잡기'에 나섰지만, 민심을 잡기 위해서는 피폐된 경제를 살릴 수 있는 외부 지원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이 출로를 남한과의 관계에서 찾아보려는 북한 지도부의 판단이 군부의 과도한 '충성'과 마찰을 빚었다는 게 소식통의 설명입니다.

변인선 작전국장이 처형된 것과 관련해 북한 주민들 속에서는 김정은식 공포정치에 대해 술렁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평안북도 국경지방에서 연락이 된 다른 소식통도 "장성택 숙청으로 이미 숱한 고위간부들이 줄줄이 처형됐는데, 또 인민군 대장이 총살됐다는 소문이 퍼지자, 사람들은 경악을 금치 못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변인선은 나이도 많고 한평생 군대에서 별을 달고 충성했던 사람인데, 한 순간에 역적이 되어 가족과 친척이 매도당하는 것을 보면 등골이 오싹해진다"고 언급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