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국제사회 엄중 요구에 귀 기울여야"

0:00 / 0:00

앵커: 한국의 외교통상부는 북한의 핵실험 강행 의지를 거듭 비판하면서 국제사회의 요구에 귀 기울일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했습니다. 한편, 한국은 다음달 유엔 안보리 의장국이 되기 때문에 "북한 문제에 더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외교통상부는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포함한 국제사회의 요구에 귀 기울일 것을 29일 다시 한 번 촉구했습니다.

“북한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핵실험, 핵무기 개발, 그리고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같은 행위를 더 이상 하지 말라”는 겁니다.

조태영 외교통상부 대변인: 참으로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주민들이 식량이 부족하고 충분한 편의를 누리지 못하는 상황에서 주민생활과는 동떨어진, 이 지역의 안보를 불안하게 하는 행위에 매달리고 있는 점을 참으로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한국 정부의 이 같은 반응은 북측이 연이어 핵실험 강행을 시사하고 있는 가운데 나왔습니다.

김정은 지도부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의 지난 12월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문제 삼아 추가 대북 제재 결의안을 최근에 통과시킨 이후부터 3차 핵실험을 시사하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한편, 조태영 대변인은 “북핵 문제는 한국이 유엔 안보리 의장국이냐, 아니냐를 떠나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한국 정부는 주도 면밀하게 관련 국가들과 협의하며 대처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지난해 10월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에 선출된 한국은 오는 2월 한 달 동안 안보리 의장국으로 활동하게 됩니다.

조 대변인은 “의장국이라고 해서 북핵 문제에만 집중할 수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관련 상황이 북핵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룰 수밖에 없게 된다면, 그것은 별개의 문제”라고 덧붙였습니다.

유엔 주재 김숙 한국 대사도 한국이 안보리 의장국이 되면 “이사국일 때보다 북한 문제에 대해 더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권한과 기회를 얻게 된다”면서 “한국 출신 의장으로서 북한의 추가 도발이 있으면 이사국들과 논의해서 반드시 구체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내겠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은 안보리 15개 이사국 가운데 영문 철자 순서에 따라 오는 2월 의장국을 맡게 됐습니다.

안보리 의장은 유엔에서 국제평화와 안전 유지에 일차적 책임을 지는 안보리를 대표하며,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언제든지 안보리 회의를 소집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