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을 방문 중인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북한과의 대화 필요성을 언급했습니다. 동시에 북한이 비핵화 등 국제사회가 요구하는 의무를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26일 제주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주포럼 개막식에서 “북한과의 대화를 향한 길을 다시 찾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전제 조건으로 북한의 도발 중단을 요구했습니다. 반 총장은 또 북한이 국제적 의무를 준수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반 총장은 그러면서 “북한이 최근 대단히 우려스러운 행동을 해 국제사회가 강력히 대응했다”며 “핵과 탄도미사일 실험은 북한 안보를 저해하고 북한 주민들에게 상처만 준다”고 지적했습니다.
반 총장은 이어 “한반도에서 갈등이 고조되면 동북아시아는 물론 그 너머 지역까지 어둠의 그림자가 깔릴 수 있다”면서 “한반도 평화를 위해 유엔 사무총장으로서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유엔 사무총장으로서, 개인적으로도 어떤 방식으로든 도움이 될 수 있게 이바지할 준비가 돼 있습니다.
최근 북한의 연속된 핵미사일 도발과 관련해선 유엔 안보리결의를 만장일치로 채택해 대북제재를 강화한 점을 평가하면서 “안보리 결의가 온전하게 실시됐을 때 한반도 비핵화가 촉진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가 온전하게 이행됐을 때 한반도 비핵화가 촉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전 세계가 단호한 입장을 보여야 합니다.
한편 반 총장은 전날 제주 롯데호텔에서 열린 관훈클럽 간담회에서 “지난해 북한에 갈 기회가 있었는데 이루지 못했다"며 "그렇지만 계속 고위급 대화 통로(채널)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혀 방북 재추진에 대한 의지를 내비쳤습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남북 간에 그래도 대화 채널을 계속 유지해온 건 제가 유일한 게 아닌가 이런 생각을 하고 있고..
반 총장은 지난해 5월 개성을 방문할 예정이었으나 북한의 갑작스러운 태도 변화로 무산됐고, 12월에도 방북을 추진했으나 성사되지 못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