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군 2천명 북중국경 추가 배치”

0:00 / 0:00

앵커 : 지난해 말 발생한 북한 탈영병의 중국 조선족 살해 사건 뒤 중국 인민해방군 2천 명이 북중 국경 지역에 추가 배치됐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해 12월 말 북중 접경 중국 지린성에서 북한군 탈영병이 조선족 4명을 살해한 사건이 발생한 뒤 해당 지역에 중국군 경비 병력이 추가 배치됐다고 홍콩에 본부를 둔 시민단체인 ‘중국인권민운정보센터’가 9일 밝혔습니다.

이 단체는 중국인민해방군 병력 2천 명이 사건 직후 북중 국경 일대에 추가로 배치됐다며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추가 배치된 중국군 병력은 북한과 국경을 접한 동북3성을 관할하는 선양군구 산하 16집단구 소속으로 알려졌습니다.

병력 추가 배치와 더불어 북중 국경 일대에서 경계 수준이 격상됐고 군인들의 휴가가 전면 취소됐다고 이 단체는 덧붙였습니다.

사건이 발생한 뒤 북중 국경지역에 대한 경계 강화를 요구하는 중국 내 목소리가 커진 데 따른 조치로 풀이됩니다.

앞서 이번 사건과 관련해 중국 외교부는 북한 측에 항의했고 북한이 유감 표명과 함께 피해자 가족에게 조의를 표했다고 지난 7일 공개했습니다.

중국 언론에 따르면 당시 26세로 알려진 북한군 탈영병은 60대 부부와 70대 부부 등 조선족 4명을 살해한 뒤 도주했습니다.

하지만 사건 당일 밤 자신을 추격해온 중국 경찰에 발각돼 총상을 입고 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중 숨졌습니다.

중국 문제 전문가인 한국 경희대 주재우 교수는 북한 군인들이 국경을 넘어 중국에서 약탈행위를 일삼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주재우 교수 : 경제난과 식량난이 심해지면서 북한 군부에도 그 영향이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당국이 군 병력을 증강해 북중 국경에 대한 경계 강화에 나섰다는 홍콩 시민단체의 주장은 사실 여부가 즉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만약 사실이라면 주요 탈북 경로인 북중 국경지역에 대한 중국 측의 경계 강화로 김정은 집권 뒤 가뜩이나 어려워진 탈북이 더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