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이 주민들의 탈북과 밀수를 막기 위해 대폭 강화된 '연선규정'을 선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앙당 자금까지 풀어 국경일대의 철조망을 높이는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현지 소식통들이 밝혔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중 국경연선에 대한 단속을 강화해 온 북한이 전례 없이 강력한 국경통제방안을 새로 내놓았다는 소식입니다. 강도 높은 처벌규정과 함께 철조망 공사에 당 자금까지 투입하고 있어 연선작업(국경지역의 불법활동)으로 살아가던 주민들의 생계를 위협하고 있다고 내부소식통들이 말했습니다.
29일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최근 강연회를 통해 불법월경과 밀수를 근절할 데 대한 김정은 제1위원장의 새로운 지시가 내렸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국경통제 강화조치는 함경북도를 비롯한 모든 국경연선 지역을 대상으로 내려졌다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강연회에서 발표 된 국경통제의 첫 번째 조치는 불법통화에 대한 처벌”이라며 “내용에 관계없이 어떤 이유로든 불법통화가 확인되면 1분당 1년형에 처한다”는 내용이었다고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연선통제의 둘째는 신속한 신고체계라며 “돈벌이를 위해 탈북방조에 나선 브로커가 돈을 받은 즉시 신고하면 돈을 몰수하거나 처벌하지 않는다는 약속까지 내놓으며 국경연선에서의 적극적인 신고체계를 조장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소식통은 “신고만 하면 처벌하지 않는다는 얘기는 이번 강연회에서 재차 강조된 것일 뿐 새로운 것은 아니다”며 "탈북 브로커들의 신고로 많은 사람들이 체포되었고 이후로 탈북 브로커들에 대한 불신감이 팽배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강화된 국경통제로 탈북에 필요한 브로커 비용은 북한과 중국사이의 강 하나를 건너는데 한화 1천4백만원 즉 중국인민폐 5만 2천원정도까지 올랐다고 소식통은 강조했습니다. 탈북 브로커들의 신고로 돈도 잃고 체포될 위험성이 높아지자 주민들은 안내브로커 없이 ‘막도강’에 나서고 있는 실정이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북도의 또 다른 소식통은 최근 중국과 인접한 국경연선에 ‘철조망’ 공사가 완공단계에 있다고 전했습니다. 새로 완공된 철책선은 중국 측 철책보다 높다고 전한 소식통은 이 철책선은 김정은이 당자금을 풀어 중국에서 사들인 철조망으로 완성한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국가의 외화벌이기관이나 사법기관들은 세관을 통해 당당하게 대규모 밀수도 하고 돈벌이를 하지만 힘없는 주민들은 보따리 밀수로 생계를 이어가고 있다"며 이런 형편에서 당자금까지 풀어 국경을 봉쇄한 것은 주민들의 숨통을 막는 행위라고 질타했습니다.
한편 소식통은 이처럼 삼엄한 국경통제에도 연선지역 주민들의 불법통화는 예전보다 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습니다. 주민들은 위험을 무릅쓰고 수시로 장소를 옮겨가며 이미 탈북한 친인척들과 통화를 하고 그들의 지원금을 받고 있다고 그는 말했습니다.
소식통들은 북한당국이 아무리 철통같은 국경통제 방안을 내놓아도 주민들의 원성만 살 뿐 목숨을 건 탈북이나 국경밀수는 막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