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2015년은 남한에서 민간 대북 라디오 방송이 시작된 지 10년이 되는 해입니다. 이를 기념해 10일 서울에서 국제회의가 열렸는데요. 참석자들은 "민간 대북방송이 해결해야 할 핵심 과제는 강력한 전파 확보"라고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현재 남한에서 북한을 상대로 라디오 방송을 하고 있는 ‘자유북한방송’ 등의 민간 회사들은 모두 해외에서 전파를 송출하고 있습니다. 이를 “남한에서 송출하는 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한국의 민간 대북방송인 ‘국민통일방송’의 이광백 상임대표가 10일 말했습니다.
‘북한 정보 자유화를 위한 한미일 국제회의’에 참석한 이 대표는 “현재 민간 대북 방송사들은 대부분 200~300kw의 낮은 출력으로 한반도 밖의 지역에서 단파로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면서 “단파는 전세계 어디에서나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출력이 약할 경우 잘 들리지 않거나 기후의 영향을 받아 청취가 안 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민간 대북 방송사들은 “한국 정부로부터 AM 주파수를 제공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이 대표는 “지난 이명박 정부때부터 이 문제를 제기했지만 방송통신위원회 야당 측 위원들의 반대로 무산됐다”면서 안타까움을 토로했습니다.
이광백 국민통일방송 상임대표: 최소한 한국 정도의 민주주의 사회가 됐고, 또 인권의 소중함에 대한 의식 수준이 한국민 정도가 된다면, 2천5백만 북한 주민들이 자유를 빼앗긴 채 가난과 독재에 시달리는 그 사람들을 구하는 이 일에 주파수 하나를 못 준다는 것은 제가 아무리 생각해도 납득이 안 됩니다.
야당 측에서 반대하는 이유는 “북한 정권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고 이 대표는 설명했습니다.
대안이 없는 건 아니라고 이 대표는 말합니다. 이 대표는 “요즘 한국 사람들은 라디오를 들을 때 주로 FM 주파수를 이용하고 있어 AM 방송을 듣는 사람은 크게 줄었다”며 “이처럼 변화된 환경을 반영해 AM 주파수 송출 의무 조항을 폐지하는 방송법 개정이 이뤄진다면 민간 대북방송사의 AM 주파수 확보에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한국의 공중파 방송사들은 대부분 AM과 FM 주파수를 동시에 송출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민간 대북방송은 지난 2005년 12월 국민통일방송과 자유북한방송에 의해 시작됐습니다.
이날 국제회의는 이광백 상임대표 외에도 최정훈 자유북한방송 사무국장, 김승철 북한개혁방송 대표 등 남한 내 민간 대북방송 관계자들, 미국 방송인 ‘자유아시아방송(RFA)와 미국의소리(VOA), 그리고 일본 대북방송인 시오카제(JSR)의 관계자 등이 참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