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벨 “북 6자회담 복귀 시기∙ 방식 미정”

0:00 / 0:00

MC:

미국은 북한의 6자회담 복귀 시기와 방식에 대해 아직 합의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커트 캠벨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 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21일 “미북 간 대화에서 북한이 6자회담과 9.19 공동성명의 중요성을 재확인했지만 언제, 어떤 방식으로 6자회담에 복귀할지에 관해선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캠벨 차관보는 상원 외교위원회 산하 동아시아 태평양 소위원회가 주관한 미국의 대 아시아 포용정책에 관한 청문회에서 “지난해 말 북한이 대화에 새로운 관심을 보여 스티븐 보즈워스 대북정책 특별대표를 평양에 보내 북한 관리들과 핵문제에 관해 논의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하지만 캠벨 차관보는 북한의 6자회담 복귀 시기와 방식에 대해 “올 초에 다른 6자회담 참가국과 협의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혀 6자회담 재개 준비와 이를 위한 여건 조성에 곧 나설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캠벨 차관보는 청문회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다음 단계는 북한을 포함한 모든 6자회담 참가국이 직접 만나야 한다”고 6자회담 재개를 재차 강조했습니다. 그는 “미국이 6자회담이 재개되면 (북한과) 양자 접촉을 할 준비가 돼 있고 이는 다른 참가국도 마찬가지”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캠벨 차관보: 6자회담이 열리면 우리는 모든 범위의 의제에 관해 북한과 논의할 준비가 돼 있습니다.

캠벨 차관보는 “현 시점에서 대북 제재를 완화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며 북한이 6자회담 복귀 조건으로 내건 제재 해제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캠벨 차관보는 특히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일관적인 대북정책을 유지해왔고 동맹국과 협의를 중시했다면서 북한의 6자회담 복귀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 데 참가국 간 합의가 이뤄졌다고 강조했습니다.

(6자회담 재개와 관련한)미국의 입장은 매우 명확하고 일관성이 있습니다. 또 한국, 일본 뿐 아니라, 중국과 심도있는 대화를 계속해왔습니다.

캠벨 차관보는 또 오바마 행정부가 북한의 핵과 함께 인권 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뤄나갈 계획임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미국의 대북 외교와 관련해 어떠한 외교적 노력도 북한의 인권 문제와 분리될 수 없다는 인식이 오바마 행정부 안에서 공유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한편 캠벨 차관보는 이날 청문회에서 미국이 동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에 전진 배치된 군사력을 계속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동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궁극적인 보루 역할을 계속할 것이라는 확신을 동맹국과 다른 국가에 심어주기 위해서”라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내 미군의 전진 배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