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의 국방부는 북측이 26일 동해로 쏜 세 발의 발사체가 사거리를 연장한 대구경 방사포로 보인다고 추정했습니다. 하지만 북측은 이를 '새로 개발한 전술 유도탄'이라고 표현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측은 김정은 제1비서가 참관한 가운데 “새로 개발한 초정밀화된 전술 유도탄”을 발사했다고 27일 밝혔습니다.
북측이 26일 원산 일대에서 동해로 쏜 세 발의 단거리 발사체를 ‘초정밀 전술 유도탄’이라고 부르는 것 같다고 남측 군 당국은 추정했습니다.
하지만 그 실체는 분명치 않습니다.
남측 군 당국의 한 관계자는 “북측이 쏜 발사체의 궤적 등을 분석한 결과 “300㎜ 방사포로 판단된다”고 말했습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도 이번 발사는 “방사포의 성능 개량 시험인 것 같다”고 평가했습니다. 300㎜ 방사포의 사거리는 최대 160㎞이지만, 26일 북측이 쏜 발사체는 이보다 30여㎞를 더 날아갔습니다.
또한 북측은 이번 발사를 통해 인공위성 유도 기능을 시험한 것 같다는 추정도 나오고 있습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 특히 300㎜ 가까운 대구경 방사포는 러시아나 중국 등에서도 그것을 먼저 개발했고, 그에 맞춰서 또 여러 가지 유도기능이나 이런 것을 보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인터넷 같은 데 보면 그런 자료들이 있는데, 아마 북한도 그런 추세를 따라가는 과정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남측 군 당국도 북측이 쏜 발사체는 300㎜ 방사포인 것 같다고 추정하는 것일뿐 확인한 건 아닙니다.
서울에 있는 일부 북한 군사 문제 전문가들은 북측이 아직 대구경 방사포에 유도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수준의 기술에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본다면서 26일 쏜 세 발의 발사체는 ‘KN-02’ 지대지 단거리 탄도 미사일을 개량한 것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간 KN-02는 최대 사거리가 170㎞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북측은 이 미사일에 인공위성을 이용한 유도 방식을 채택하기 위해 기술 개발을 지속해온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편, 김정은 제1비서가 발사 현장을 참관했다고 북측 매체가 밝힌 것과 관련해 김동엽 극동문제연구소 연구교수는 “김 비서가 최근들어 전투기와 잠수함 망루에 올라타는 모습을 보인 데 이어 이번엔 발사 시험 현장을 지휘함으로써 현지지도를 통한 군부 관리를 지속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김 교수는 “핵.경제 병진노선을 취하고 있는 북측으로서는 ‘경제 발전’이라는 목표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과거처럼 군사비 지출을 많이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 “지금 김정은이 할 수 있는 일은 현지지도와 정치교양 사업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반면, 조선중앙통신은 이번 시험 발사와 관련해 “미국과 남측의 고립압살책동과 침략전쟁도발행위” 등을 언급하며 한국과 미국 정부를 비난해 단거리 발사체 발사는 대외적 의도도 있음을 시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