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국무부 측은 미국의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이 최근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에게 서한을 보내 북한 방문 의사를 전달했는지 여부를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국무부 관리는 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카터 전 대통령이 일반 시민이기 때문에 그의 방북 계획 등은 카터 전 대통령 측에 문의하라고 말했습니다. (All questions about any travel by President Carter needs to be addressed to President Carter's office. I have no information for you about that, as he is a private citizen.)
국무부 관리는 또 카터 전 대통령이 4월 중순 경 케리 장관에게 서한을 보냈는지 여부와 이에 대한 케리 장관의 답변이 있었는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도 사적인 서한 교환과 관련해서는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답했습니다.
앞서 지난달 22일 카터 전 대통령은 미국 라파예트(Lafayette)대학에서 연설하면서 자신이 4월 중순 케리 국무장관에게 서한을 보내 대북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카터 전 대통령은 당시 연설에서 북한이 미국의 공격을 확신하는 등 피해망상에 사로잡혀 있다면서 북한은 미국과의 평화조약 체결과 경제제제 해제를 원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의 연합뉴스는 1일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카터 전 대통령이 최근 케리 장관에게 서한을 보내 북한을 방문하고 싶다는 의사를 전달하고 북한과의 대화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전했습니다.
카터 전 대통령은 지난 2010년 북한을 방문해 당시 북한에 억류돼 있던 미국인 아이잘론 말리 곰즈 씨와 함께 귀국한 바 있어 현재 북한에 억류돼 있는 미국인 케네스 배 씨의 석방과 카터 전 대통령의 이번 방북 추진이 연관됐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편 카터 전 대통령 재단 측은 지난주 이후 카터 전 대통령의 편지와 관련한 수차례 RFA의 질의에 대해 아무런 답도 하지 않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