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방북 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힌 가운데 백악관 측은 현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그를 북한에 보낼 계획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백악관 고위 관리는 카터 전 대통령이 방북 의사를 밝힌 언론 보도를 접했지만 아직 트럼프 대통령과 이 문제를 논의하지 않았다고 23일 밝혔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이 관리는 이날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다음달 초 아시아 순방과 관련한 기자회견에 나서 카터 전 대통령의 방북 사안과 관련해 백악관은 “아무런 계획도 없다(there is nothing planned)”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좋은 복안(great idea)을 가진 어떤 이들과도 백악관은 소통할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22일 카터 전 대통령은 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스에 방북 의사를 공식화하면서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게 방북하고 싶다는 의사를 전달했다고 밝혔습니다.
카터 전 대통령은 지난 1994년 북한을 전격 방문해 미북 핵 협상의 물꼬를 마련했고 2010년 두 번째 방북에서는 억류된 미국인의 석방을 이끌어내기도 했습니다.
카터 전 대통령의 방북 의사와 관련해 미국 국무부 측은 23일 이같은 움직임을 지지하냐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문에 “카터 센터에 문의하라(I refer you to the Carter Center)”고만 답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백악관 고위 관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달 7일 1박2일 일정으로 국빈 방한 시 비무장지대(DMZ)를 방문할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여전히 일정이 변할 순 있지만 비무장지대 대신 서울에서 남쪽으로 65킬로미터 가량 떨어져 있는 경기도 평택의 험프리 미군기지(Camp Humphreys)를 방문할 계획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 관리는 일각에서는 안전(security) 문제로 트럼프 대통령이 비무장지대를 방문하지 않는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안전이 고려 사안은 아니라고 부인했습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달 7일 정오 경 한국에 도착해 문재인 한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8일에는 국회에서 연설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국회 연설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은 “국제사회가 최대한의 대북 압박에 동참할 것을 요구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백악관 고위 관리는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순방에서 중국 측에 북한에 대한 압박을 더욱 강화하라고 촉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결의를 완전히 이행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이를 넘어서는 양자조치를 취해 달라고 요구할 것이란 설명입니다. (We would like to see China do things bilaterally as well that might even go beyond things that are mandated by thos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이 관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책을 찾고 있다면서도 만일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제대로 맞서 이를 되돌리지 못한다면 이는 “훨씬 더 어두운 시대(much darker era)”로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