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방중... 북핵 해법 논의”

0:00 / 0:00

앵커: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27일부터 나흘 간 중국을 국빈 방문합니다. 방중 첫날 예정된 한중 정상회담에서는 북한 핵문제 해법 등 다양한 현안이 논의될 전망입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27일 오후 열리는 한중 정상회담에서 가장 중요한 의제는 역시 북한 핵문제입니다.

한국 청와대의 김행 대변인은 지난 26일 이번 정상회담이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한 한중 양국의 공조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김행 청와대 대변인: 대북 정책에 관한 공조를 강화하고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 추진에 있어서 이해와 협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도 최근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중국과 협력해 북한을 진정성 있는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북한의 비핵화 목표 달성을 위해서 한중간의 협력과 공조를 다져서 북한이 국제사회가 요구하는 진정성 있는 대화의 장으로 나올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미국도 북한과의 대화에 열린 입장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대북 대화를 재개하기 위해선 북한이 먼저 비핵화를 위한 진정성을 구체적인 행동으로 보이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 측은 최근 북한이 피력한 대화 의지를 강조하면서 6자회담 등을 재개하기 위해 남북 간 또는 미북 간 대화가 조건 없이 열리길 원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보니 글레이져 선임연구원은 중국과 한미 양국 사이에는 대북대화 재개 문제와 관련해 어느 정도 이견(gap)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이번 한중 정상회담에서 중국 측은 기존의 ‘한반도 비핵화’ 관련 입장을 유지하면서 6자회담 등 대화 재개를 위한 분위기 조성에 주력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보니 글레이져 선임연구원: 중국 측은 (한반도) 비핵화의 시급성을 강조하긴 하겠지만 이와 관련해 과거 중국이 했던 언급 이상의 내용은 나오지 않을 것으로 봅니다.

글레이져 연구원은 또 한국 측 박근혜 대통령은 북한이 진정성 있는 비핵화 회담에 나설 수 있도록 중국 측이 더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요구하면서 북한의 경제개혁 문제 등을 논의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박 대통령은 시 주석에게 통일 한국에 대한 문제도 거론할 수 있을 것으로 그는 전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