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중국에 특사 보낼 계획 없다"

미국 정부는 대북 제재의 협조를 구하기 위해 중국에 특사를 보내기보다는 공식적인 외교 선을 통해 협력을 이끌어 낸다는 방침이라고 미국 국무부의 관리가 밝혔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이 대북 제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미국 정부가 특사를 보내서 중국 정부를 설득할 계획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국무부의 고위관리가 2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이 관리는 미국 정부가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을 특사로 보내서 대북 제재를 위해 중국 정부를 설득할 수도 있다는 키신저 전 장관 특사설에 대해서 "전혀 들어본 적 없다"고 답했습니다.

이 관리는 중국과 대화는 공식적인 외교 통로를 통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특사를 보낼 필요가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국무부에서 한반도 업무를 담당했던 전직 국무부 인사도 미국 정부가 키신저 전 장관을 중국에 특사로 보낼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반응했습니다.

국무부의 한국 과장을 지낸 데이비드 스트라우브 스탠퍼드대 아시아태평양문제연구소 한국학 부국장은 키신저 전 장관이 중국을 자주 왕래하지만 두 정부의 안건을 전달할 수 있는 위치는 아니라고 자유아시아방송과 한 전화통화에서 말했습니다.

스트라우브: 키신저 전 장관이 자주 중국을 왕래하는 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미국 정부가 특사 역할을 맡기지는 않을 겁니다. 중국 정부도 미국 정부에 전할 내용을 키신저 전 장관을 통해 전달하려 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스트라우브 부국장은 두 나라 정상이 자주 대화하고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을 비롯한 미국의 정식 외교 통로를 통한 미국과 중국의 대화도 원활하기 때문에 미국 정부가 대북 특사를 고려할 가능성은 작다고 단언했습니다.

이와 함께 스트라우브 부국장은 북한의 핵 보유를 원하지 않는 중국이 유엔의 대북제재 결의에 포함된 이행 사항을 따르지 않을 명분이 없다면서 미국 정부가 중국과 꾸준히 대화하면서 협력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스트라우브: 대북 제재에 중국이 더욱더 적극적으로 나오도록 미국과 한국, 일본 세 나라가 함께 중국을 설득해야 합니다. 장기적으로는 미국과 중국의 상호 신뢰가 커지도록 미국의 외교적인 노력이 계속되어야 합니다.

스트라우브 부국장은 다음 주 워싱턴에서 있을 미중일 대화가 미국 정부의 대북 제재를 위한 중국의 협력을 이끌 시험대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