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다룰 미 국무부 차관보에 강경파 백악관 국장 지명

0:00 / 0:00

앵커 : 미국 국무부 내에서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와 함께 북한 핵과 미사일 문제를 직접 다루는 국제안보∙비확산 담당 차관보에 크리스토퍼 포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비확산 담당 선임 국장이 지명됐습니다. 북한 핵문제 전문가인 포드 지명자는 올 해 초 백악관에 합류하기 직전까지 상원 외교위원회에서 대북제재법을 입안하는 등 대북 강경파로 분류됩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포드 신임 국무부 국제안보∙비확산 담당 차관보 후보자는 지난 달 31일 백악관의 공식 지명에 이어 지난 2일 상원에 인준 요청서가 접수됐고 현재 외교위원회에서 인준 절차가 진행중입니다.

그는 올 해 초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직후부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대량살상무기∙비확산 담당 선임 국장으로 일해왔습니다.

또 백악관 합류 직전까지 상원 외교위 수석법률자문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지난해 상하원을 통과한 포괄적 대북제재법 입안에 참여했습니다.

포드 지명자는 그 동안 압박을 통한 북한 핵무기의 완전한 폐기를 주장해온 대북 강경파로 분류됩니다.

상원 외교위 외에도 세출위원회와 은행위원회 수석법률자문위원 등 의회 내 요직을 두루 역임했습니다.

또 2003년 조지 부시 행정부 당시 존 볼튼 국무부 군축∙국제안보 담당 차관 아래서 수석 부차관보를 역임하는 등 핵 비확산과 군축 분야에서 두루 활동해왔습니다.

그는 하버드대를 최우등으로 졸업한 뒤 가장 권위있는 장학제도로 꼽히는 로즈 장학생으로 선발돼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예일대 법학대학원을 졸업한 포드 지명자는 그 동안 중국과 관련해 여러 권의 저서를 쓴 아시아 전문가이기도 합니다.

의회 소식통은 9일 RFA, 자유아시아방송에 행정부와 의회에서 국제안보와 비확산 분야 요직을 두루 역임한 전문성에 비춰 포드 지명자의 의회 인준이 무난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앞서 포드 지명자는 지난 달 말 미국의 한 민간단체가 주관한 토론회에 나와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정책 목표가 협상을 통한 북한의 비핵화라고 밝혔습니다.

크리스토퍼 포드 : 결국 미국의 정책 목표는 여전히 협상을 통한 한반도의 비핵화 달성입니다.

그는 대북 군사적 대응에 앞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북한 정권이 핵을 고집하는 전략적 계산을 바꾸려는 노력이 현재 진행중인 트럼프 행정부의 ‘최대한의 압박’이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