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이 1일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을 실명을 거론하며 비난했습니다. 박 대통령이 중국을 국빈 방문하던 중 북한과 관련해 했던 발언을 문제삼은 겁니다. 한국의 통일부는 강한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의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대변인은 1일 조선중앙통신 기자와 문답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주 중국 방문 기간 중 북한의 핵·경제 병진노선이 실현 불가능한 정책이라고 지적한 부분을 문제삼았습니다.
북측은 박 대통령의 이 발언을 실명을 거론해 비난하면서, 이는 “존엄과 체제, 정책 로선에 대한 정면도전이고 용납할수 없는 중대 도발”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북측이 박 대통령의 실명을 거론하며 비난한 것은 지난 5월에 이어 두번째입니다.
통일부는 강한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김형석 대변인은 “자신들의 주장을 표현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나름의 예의를 갖추고 품격 있는 언어를 사용해야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기본적으로 국가 원수에 대해서 매우 적절치 못한 표현과 언사를 사용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매우 유감스럽다는 점을 다시 한 번 말씀드립니다.
지난 3월, 북측은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를 열고 핵과 경제를 동시에 발전시키겠다는 노선을 채택한 바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토요일 칭화대학 연설에서 북측이 “애당초 불가능한 일”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이는 “스스로 고립만 자초하는 길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만약 북한이 핵을 버리고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이 되는 변화의 길로 들어선다면 한국이 북한을 적극 도울 것이고, 동북아 전체가 상생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북측 조평통 대변인은 1일 북한이 보유한 핵은 “어떤 경우에도 흥정물이 될수 없다”고 말해 핵을 포기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