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하원 대북규탄 결의안 공동 발의자 급증

0:00 / 0:00

앵커 : 김정남 암살의 배후로 북한이 지목되면서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반감이 점차 커지는 가운데 미국 의회에 제출된 초당적 대북규탄 결의안의 채택 가능성도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6일 발의된 미국 하원의 초당적 대북규탄 결의안(H.RES. 92)의 공동 발의자 수가 이미 60명(2월14일 집계 기준 62명)을 훌쩍 넘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초 공동 발의자 수가 4명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1주일 만에 60명 가까이 늘어난 겁니다.

이 때문에 법안 통과 여부를 가늠하는 주요 기준인, 당을 초월한 지지와 다수의 공동 발의를 충족해 결의안 채택 가능성이 커졌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조 윌슨(공화∙사우스캐롤라이나) 의원이 대표 발의한 결의안은 현재 하원 외교위 동아태소위와 군사위 테러비확산소위에 계류중입니다.

결의안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개발을 규탄하고 미국의 추가 대북 경제제재와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한반도 즉각 배치를 촉구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윌슨 의원실은 24일 RFA, 자유아시아방송에 결의안에 대한 의회 내 관심이 점차 커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조 윌슨 의원 대변인 : 많은 의원들이 결의안 공동 발의자로 참여했습니다. 매우 고무적(encouraged)입니다.

특히 공동 발의에 참여한 의원이 공화당 소속 52명, 민주당 소속 10명으로 초당적으로 분포돼 더욱 의미가 깊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지난 주 말레이시아에서 발생한 김정남 암살 사건과 높아진 공동 발의 참여율이 직접 연관됐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조심스런 반응입니다.

조 윌슨 의원 대변인 : 아마 우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건 발생 이전에 공동 발의자로 참여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윌슨 의원실은 휴회중인 의회가 내주 개원하면 더 많은 공동 발의자를 모은 뒤 빠른 시일 안에 결의안이 채택될 수 있도록 애쓸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김정남 암살에 북한이 직접 연계됐다는 증거가 속속 공개되면서 의회 내에서 북한에 대한 반감이 큰 점을 감안하면 공동 발의자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럴 경우 결의안 채택 가능성 역시 그만큼 커질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