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군은 북측 최고사령부의 군사적 위협과 관련해, "도발시 지휘세력까지 단호히 응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군 당국은 대북 경계태세를 격상하고 한미 연합 감시자산을 증강해 운용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국방부는 하루전 북한의 정전협정 백지화 및 군사도발 위협과 관련해 “북한의 도발시 강력하게 응징하겠다”고 6일 밝혔습니다. 국방부는 응징 대상으로 북측 “지휘세력”도 포함했습니다.
김용현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 북한이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도발을 감행한다면, 우리 군은 도발 원점과 도발 지원세력은 물론, 그 지휘세력까지 강력하고 단호하게 응징할 것이며, 이를 시행하기 위한 모든 준비를 갖추고 있음을 분명하게 밝힌다.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대비해 군 당국은 이날 정오를 기준으로 대북 경계태세를 평상시 수준에서 한 단계 격상하고 한미 연합 감시자산을 증강해 운용하고 있다고 남측 합참 관계자는 밝혔습니다.
이 관계자는 "북한은 상상할 수 없는 시간과 장소에서 다양한 유형의 도발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군은 만반의 대비태세를 구축하고 있다"며 "특히 잠수함이 움직일 수 있는 시기가 됐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북한군 동향과 관련해 이 관계자는 "전국의 대비태세를 강화한 가운데 매년 실시하는 동계훈련을 예년에 비해 강도 높게 진행하고 있다"며 "무력시위 성격의 대규모 합동 훈련을 준비하는 활동도 지속하고 있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북측은 5일 최고사령부 대변인 성명을 통해 핵실험에 이은 “2차, 3차 대응조치”와 “정전협정 백지화”, 그리고 “판문점 대표부 활동 중지” 등을 선언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