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북핵 방치하면 큰 대가 치를 것”

0:00 / 0:00

앵커: 한국의 박진 전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장은 워싱턴 정가에 '북핵 피로감'이 만연해 있지만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미국은 향후 큰 대가를 치러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박진 전 위원장은 13일 미국 워싱턴 DC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한미일 관계에 대한 강연을 통해 북핵 위협에 대응한 한미일 3국의 공조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미국 워싱턴 정가의 ‘북핵 피로감’과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 접근법인 이른바 ‘전략적 인내’ 기조를 이해 못하는 바는 아니지만 북핵 문제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 이는 큰 실수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박 전 위원장은 현재 북핵 상황이 위험스런 방향으로 계속 악화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미국 백악관에는 현재 중동 지역 이라크 공습 문제 등 북핵에 비해 우선순위가 높은 현안이 산적해 있지만 그래도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을 이대로 방치할 경우 미국은 더 큰 대가를 치를 것이란 지적입니다.

박진 전 위원장: 북한의 플루토늄 생산과 우라늄 농축을 계속 더 허용한다면 우리는 향후 더 큰 대가를 치러야 할 것입니다.

박 전 위원장은 현재 북한은 핵탄두 소형화와 중, 장거리 탄도미사일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만일 북한이 소형화된 핵탄두를 중, 장거리 미사일에 탑재할 경우 주한미군, 주일미군 기지는 물론 미국 하와이와 괌, 또 알래스카와 캘리포니아 지역까지 북한의 핵미사일이 도달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게다가 북한은 시리아와 이란 등 중동 국가들과 무기와 관련해 협력해 왔다는 증거가 있다면서 이런 위험한 협력 관계가 계속 발전한다면 이로 인해 발생할 위기는 ‘통제 불능’ 상황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따라서 이제는 한미일 3국이 적극적이고 진정한 노력을 통해 북한이 핵포기 여부를 선택할 기회를 줘야 한다는 게 박 전 위원장의 지적입니다.

그는 한미일 3국이 압박 수단으로 엄한 대북제재를 유지하되 동시에 대화의 문도 열어놔야 한다면서 대화를 통해서 북한이 현 상황에 대해 가진 생각을 알아보고 또 어떤 조치가 가능한지도 판단해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박 전 위원장은 대결보다는 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와 관련된 의미 있는 진전을 유도할 필요가 있고 이른바 ‘돌파구’를 마련하지 않을 경우 북핵 상황은 점점 더 위험해 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