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유엔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CTBTO)는 다음주 역대 최대 규모의 핵실험탐지와 관련한 국제회의를 열 계획입니다. 북한 핵실험 탐지가 주요 안건에 포함됩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는 오는 22일부터 26일까지 오스트리아 즉 오지리 빈에서 회원국 정부 관계자와 학자 등 750여 명이 참석하는 핵실험탐지와 관련한 국제 토론회를 연다고 밝혔습니다.
이 기구의 대변인실 관계자는 유엔과 회원국 정부 당국자, 그리고 핵실험탐지 전문가들이 참석해 북한에 핵실험금지조약의 서명을 촉구하는 등 핵실험 없는 지구를 만들기 위한 국제사회 공동 노력을 논의한다고 1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전문가 학술발표 주제 중에는 ‘북한 핵실험과 관련한 국제사회 탐지시설의 확대’가 포함되었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22일 열릴 국제회의에서 북한을 비롯한 비 서명국가에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 서명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채택한다고 덧붙였습니다.
CTBTO 대변인: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에 서명국의 외무장관들이 참석해서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이 국제법으로 발효되기 위해 넘어야 할 남은 과제를 논의합니다.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와 연계된 관측소와 실험실이 전 세계 200개소에 이른다면서 지구상의 모든 종류의 핵실험을 탐지할 수 있으며 북한의 핵실험 여부도 수 분 만에 탐지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북한과 인접한 중국도 중국도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의 본부가 있는 오스트리아 빈의 상황실로 핵실험 탐지와 관련한 자료를 매일 보내오고 있습니다.
핵실험금지조약기구는 유엔이 1996년 일체의 핵실험을 막기 위해 만든 국제사회의 핵실험 감시기구입니다.
전 세계 183개국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지만 북한은 아직 핵실험금지조약에 서명하지 않았습니다.
한편, 북한은 1968년 핵무기의 확산을 막기 위해 유엔이 채택한 핵무기전파방지조약(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NPT)에 1985년 가입했지만 2003년 탈퇴했고 2006년과 2009년, 그리고 2013년 2월 핵실험을 강행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