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무부 “대미 사이버 공격 예의 주시”

0:00 / 0:00

앵커: 최근 북한 지도자 김정은의 암살을 소재로 한 영화를 제작한 소니(SONY) 영화사에 대한 해킹, 즉 사이버 공격의 배후로 북한이 지목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국무부는 미국 기업과 소비자, 또 기간시설에 대한 사이버 공격과 관련해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 국무부 대변인실은 4일 미국 소니 영화사 해킹과 북한의 연관성에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문에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인 사안에 대해서는 논평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하지만 국무부 측은 미국 정부가 미국 기업과 소비자, 또 미국 기간시설에 대한 사이버 공격 관련 사안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We monitor very closely all reports of breaches affecting US companies, US consumers, and US infrastructure.)

그러면서 범죄자와 외국 정보기관들이 정기적으로 미국 정부와 민간기업의 전산망에 침투하려고 시도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국무부 측은 또 올해 초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국가 주요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예방하기 위해 행정명령을 발동하는 등 사이버 안보 위협에 적극 대처하고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앞서 국무부의 한 관리도 이날 미국 일간지 워싱턴포스트에 소니 영화사 해킹에 대한 북한 배후설과 관련해서는 언급을 회피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북한 지도자의 암살을 소재로 한 영화 ‘인터뷰’에 대한 북한 측 우려를 잘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미국에서는 영화제작자들이 어떤 주제의 영화도 자유롭게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북한 사람들은 이해하기 힘들 수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실제로 북한 측은 이번 영화 제작과 관련해 지난 6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에게 서한을 보내 테러를 조장하는 전쟁 행위라며 강력히 항의했습니다. 또 앞서 무자비한 보복을 수차례 경고하기도 했습니다.

북한 측은 이번 소니 영화사 사이버 공격에 북한이 그 배후라는 지적에 대해 지난 2일 ‘두고 보자’는 반응을 보였고 4일에는 ‘조작’이라며 북한 연루설을 전면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편 뉴욕 유엔 주재 북한 대표부 측은 4일 이번 해킹 사건과 관련한 자유아시아방송의 질의에 응답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