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남측에서 추락한 무인 항공기는 북한이 제작한 것이라는 잠정 결론이 내려졌습니다. 하늘색으로 도색된 이 무인기가 초보적 수준의 정찰용으로 사용된 것 같다는 겁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정보 수집 등의 목적으로 남한 상공에서 운용하던 무인기 두 대가 남측 정보당국의 손에 들어왔습니다. 지난달 24일 파주에서, 그리고 31일 백령도에서 각각 추락했기 때문입니다.
한국 정부의 한 소식통은 2일 “두 기체가 연관성이 있고 동일하게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북한에서 개발한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제라고 결론지은 핵심 근거는 두 가지입니다. 우선, 파주에서 추락한 무인기의 엔진 배터리 뒷면에 ‘기용날자’와 ‘사용중지 날자’라는 북한식 표현이 발견됐습니다. ‘날자’는 ‘날짜’의 북한식 표기입니다.
또한 무인기에는 민간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십자형 낙하산이 장착됐습니다. 북측은 이를 무인기 회수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이 소식통은 설명했습니다.
북측의 무인기 운용 목적은 정보 수집으로 추정됐습니다. 이 소식통은 “항공 정찰 능력이 취약한 북한이 공중 촬영을 위해 시험용 무인 정찰기를 개발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이 무인기의 기술 수준은 “초보적”입니다. 일제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돼 있어 정지영상을 촬영할 수는 있지만 해상도 높은 정밀촬영은 불가능하며, 실시간 송수신을 위한 장비도 없다는 게 정부 관계자의 설명입니다. 또한 미리 입력한 항로를 따라 비행할 수는 있지만, 비행 중 항로를 바꿀 수는 없다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습니다.
미국의 NBC 방송은 군사문제 전문가들의 말을 전하면서 북측의 무인기를 “카메라 달린 모형기” 정도로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초보적 수준의 비행체라고 하더라도 우려되는 점은 있습니다. 북측이 무인기 기술을 꾸준히 발전시킬 경우, 특정 표적에 대한 테러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겁니다. 게다가 생화학 무기 탑재 가능성도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무인기는 저고도로 비행하기 때문에 군의 지상 레이더가 포착하기 힘듭니다. 따라서 남측 군 당국은 낮은 높이로 비행하는 무인기를 포착하기 위한 저고도 탐지 레이더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 북측은 지난 2010년 해안포 사격 때도 무인기를 띄워 백령도와 연평도 일대를 정찰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번엔 정찰 중이던 무인기가 두 대나 떨어져 현재 남측 정보당국의 정밀 분석을 받고 있기 때문에 북측의 무인기 운용 실태는 훨씬 구체적으로 드러날 것으로 전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