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기 공동조사 요구 저급한 심리전”

0:00 / 0:00

앵커: 북측이 무인기 사건을 공동 조사하자고 남측에 제의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이를 "저급한 심리전"이라며 거부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청와대는 “범죄 피의자가 범죄 증거를 조사하는 일은 없다”면서 북측의 국방위원회가 무인기 추락 사건에 대한 공동 조사를 남측에 제의한 데 대해 거부의 뜻을 밝혔습니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15일 이처럼 말하면서, “충분히 과학적인 방법으로, 충분하고도 남을 만큼 (증거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고, 앞으로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국방부는 한 발 더 나갔습니다. 북한은 “적반하장식 행태”를 중단하라는 겁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 북한의 국방위원회가 소형 무인기 공동조사를 하자고 제의한 것은 우리 한국 내, 대한민국 내에서 분열을 조장하기 위한 저급한 대남심리전에 불과한 것으로 논의할 가치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북측 국방위원회는 14일 검열단 명의로 ‘진상 공개장’을 발표하고 남측의 중간조사 결과를 “비과학적”이라고 비난하며 공동 조사를 요구했습니다. 또한 김장수 청와대 안보실장을 남측 진상조사단의 대표로 지목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김민석 대변인은 이 같은 “적반하장”식 행태가 이미 천안함 피격 사건 때도 나타난 바 있다면서, 북측이 “기본적인 사실관계와 논리를 왜곡하면서 자신의 도발을 은폐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북측은 2010년 천안함 사건 당시에도 국방위원회 검열단 파견과 공동조사를 요구한 바 있습니다.

김민석 대변인은 “보다 명백하게 규명할 수 있는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과학조사전담팀을 구성해서 지금 조사 중에 있고, 조속한 시일 내에 최종 합동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김 대변인은 무인기에 설치된 부품은 대부분 한국의 우방국들에서 생산됐다면서, “우방국들을 통해서 확인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국방부는 지난 11일 중간조사 결과 발표를 통해 최근 남측에 추락한 3대의 소형 무인기가 북측이 날려보낸 게 “확실하다”고 공식적으로 밝힌 바 있습니다. 다만 비행경로를 포함한 결정적인 증거는 이날 제시하지 못했습니다.

이에 따라 국방부는 무인기 비행에 사용된 임무명령 자료를 분석하고 복귀좌표를 해독하는 작업에 조사의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