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10일 북 공관 유지 통보

0:00 / 0:00

앵커 : 유럽연합이 10일 오전 북한 주재 외교 공관을 철수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평양 스웨덴 대사관을 통해 북한 측에 전달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

유럽연합 캐서린 애쉬턴 외교안보 고위대표의 마야 코치얀치크(Maja Kocijancic) 대변인은 북한측에 유럽연합 외교공관의 철수 계획이 없다는 사실을 10일 오전 통보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코치얀치크 대변인 : 북한에서 유럽연합을 대표하는 스웨덴 대사관이 북한 외무성에 이같은 사실을 전달했습니다. 또한 '외교관계에 관한 비엔나 협약(Vienna Convention on Diplomatic Relations)'에 따라 북한 당국이 어떤 상황에서도 북한 내 유럽연합 외교관과 국민을 보호할 의무가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지적했습니다.

Upon instructions, the Embassy of Sweden which is representing the EU in Pyongyang conveyed these messages to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DPRK. In this context, the EU also reminded DPRK authority that under the Vienna Convention on Diplomatic Relations they have continuing obligation in all circumstances to protect diplomatic missions and the EU citizens.

1961년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작성된 ‘외교관계에 관한 비엔나 협약’은 유엔 회원국들이 자국 내 외교관에 대해 신체, 자유 또는 품위에 대한 여하한 침해에 대해서도 이를 방지하기 위한 모든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명시하고 있습니다.

코치얀치크 대변인은 그러면서 북한이 의도적으로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기 위해 매우 도전적인 수사로 위협하고 있지만 북한은 물론 한국 내 유럽연합 공관이 철수하거나 이전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습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27개 유럽연합 국가들은 한국이나 북한에 대한 여행금지 조치를 내리지 않았다고 덧붙였습니다.

유럽연합은 북한이 도발적인 언동을 삼가고 국제사회와 신뢰를 바탕으로한 대화를 재개해 한반도 긴장을 완화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코치얀치크 대변인 : 유럽연합은 북한의 도발적인 행동을 강력히 비난하고 최근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를 채택했습니다. 유럽연합은 북한이 장기적인 한반도 안정을 위해 핵무기 확산을 중단하고 비핵화를 위한 6자회담에 돌아올 것을 촉구합니다.

유럽연합은 현재 미국, 한국, 일본, 중국 등과 북한의 비핵화를 통한 한반도 안정을 위한 적절한 방법을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코치얀치크 대변인은 강조했습니다.

유럽연합 27개국은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유엔에서 채택된 대북제재 결의 2094호를 이행하기 위한 유럽연합의 제재 방안에 관한 논의를 진행 중입니다.

코치얀치크 대변인은 유럽연합은 남북한과 중국 등의 공관을 통해 향후 전개상황을 주시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