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에티오피아 불법 무기 거래 의혹”

0:00 / 0:00

앵커 : 북한과 에티오피아 간의 불법 무기 생산 협력이 유엔 대북제재를 위반한 것인지 여부에 주목해야 한다고 영국의 군사전문가가 지적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영국의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Royal United Services Institute)의 안드레아 버거(Andrea Berger) 연구원은 에티오피아가 유엔 대북제재 1874호를 위반하고 북한과 무기 생산 관련 거래를 하고 있는지 의문이 간다고 주장했습니다.

버거 연구원은23일 미국의 북한전문 웹사이트 38노스에 기고한 글(Is Ethiopia violating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New Evidence Uncovered)에서 1980년 대 말 북한의 도움으로 건설된 에티오피아 무기생산 공장과 유엔 대북제재 대상인 북한 기관 간의 협력이 지속되고 있을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버거 연구원은 북한이 에티오피아의 가파트군수공업(Gafat Armament Engineering Industry)과 호미코탄약공업(Homicho Ammunition Industry) 두 회사의 공장 건설을 도왔고 최근까지도 북한과 거래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들 공장은 북한의 핵실험으로 인해 북한으로부터 모든 무기나 관련 물질 심지어 기술자문과 훈련 등의 거래를 금지한 1874호(2009)가 발효되기 전에 건립됐지만 현재까지도 무기 공장에 필요한 부품 등을 북한으로부터 수입한다면 대북제재 위반이라는 지적입니다.

버거 연구원은 무기를 수출하는 대부분의 국가들은 무기 자체 생산을 원하는 나라에 기술지원을 꺼리지만 북한은 단기간의 이익을 노려 무기 생산 공장에 필요한 기술 지원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1987년 건설된 호미코탄약공업은 적어도 2007년 후반까지 로켓추진 수류탄(rocket-propelled grenades) 제조 등에 북한의 지원을 받았을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또한 공장 생산 설비에 들어가는 부품과 기계 등도 북한으로부터 구입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버거 연구원은 분석했습니다. 버거 연구원은 호미코탄약공업은 북한과 에티오피아 무기 협력에 있어 중추적 역할을 했고 미국도 이를 주목하고 최소 2009년까지 북한과의 관계를 중단하도록 에티오피아를 압박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버거 연구원은 또 올해 호미코탄약공업이 자체 웹사이트에 북한 회사로 추정되는 기업(Korea Mineral Trading General Corporation)을 주요 공급업체 목록에 올렸다가 유엔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단 보고서(Report of the Panel of Experts Established Pursuant to Resolution 1874 (2009),”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에서 의혹을 제기하자 즉각 이름을 삭제했다고 밝혔습니다.

버거 연구원은 1987년 북한의 도움으로 건설된 가파트군수공업도 호미코탄약공업과 마찬가지로 메텍(METEC:Metals and Engineering Corporation) 산하로 재편돼 있다고 말했습니다. 가파트군수공업은 초기에는 AK-47소총과 경기관총 등을 생산하던 공장이 2002년 메텍 산하로 들어가면서 40밀리 수류탄 발사체와 중포, 곡사포 등을 생산하게 됐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버거 연구원은 북한이 현재 자체 생산하는 무기체계와 가파트군수공업이 현재 제조 중인 무기가 같은 점도 에티오피아가 여전히 북한의 군사원조를 받고 있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