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의 이명박 전 대통령이 최근 출간한 회고록에서 2010년 12월 북한 국가안전보위부 류경 부부장이 서울을 비밀리에 방문한 뒤 이듬해 초 처형된 사실을 공개적으로 밝혔습니다. 당시 류 부부장의 서울 방문과 곧이은 처형 사실을 심층 보도했던 일본 언론인은 재일교포 출신 며느리만 강제 이혼당한 뒤 목숨을 건졌고 아들 등 가족 전체가 평양 자택에서 총살당했다고 전했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명박 전 한국 대통령이 회고록 ‘대통령의 시간’에서 재임기간 이뤄진 남북 간 비밀접촉을 이례적으로 상세히 언급했습니다.
회고록은 특히 류경 전 부부장을 지칭한 듯 북한 국가안전보위부 고위급 인사가 2010년 12월 서울을 극비 방문하고 돌아간 뒤 이듬해 갑자기 처형됐다는 점을 밝혔습니다.
앞서 2011년 당시 일본 아사히신문 서울특파원으로 류경의 극비 남한 방문과 처형 소식을 집중 보도했던 마키노 요시히로 미국 존스홉킨스대 연구원은 2일 RFA 자유아시아방송에 류경의 재일교포 출신 며느리만 빼고 가족 모두가 총살당했다고 전했습니다.
마키노 요시히로: 2011년 2월 초 평양에서 행복하게 살고 있던 일본 사이다마현 출신의 재일교포 여성에게 갑자기 중앙당에서 남편과 바로 이혼하라는 지시가 내려왔답니다.
마키노 연구원은 이 여성의 시아버지가 류경으로, 결국 재일교포 출신 며느리 한 명만 빼고 모든 가족이 평양 자택에서 총살됐다는 얘기를 한일 양국의 대북 소식통들을 통해 들었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류경에 씌워진 죄목이 남북 간 비밀접촉 과정에서 반역 행위가 있었다는 것으로 서울에서 행적을 담은 출장보고서 내용이 부실한 게 문제가 됐다고 말했습니다.
마키노 요시히로: 북한은 해외에 나갔다 돌아올 경우 행적에 대해 상세히 보고해야 합니다. 류경이 제출한 보고서 내용중 정상회담 추진에 관한 부분은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일부 행적에서 어디에서 누굴 만났는지 애매한 부분이 있었다고 합니다. (해외 출장 경험이 별로 없었던) 류경은 이게 핵심 사안이 아니라 괜찮다고 생각했는데,….
부실한 출장보고서가 빌미가 돼 서울에 머문 동안 반역행위를 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비난을 받게 됐고 결국 숙청으로 이어졌다는 겁니다.
마키노 연구원은 하지만 류경에게 씌워진 죄목인 반역행위는 핑계였다고 지적했습니다.
실제는 당시 진행중이던 김정은으로의 권력승계 과정에서 비대해진 권력기관인 보위부를 견제하려던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의중이 반영됐다는 겁니다.
그에 따르면 류경은 2002년 북일정상회담과 2009년 미국인 여기자 억류 때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의 방북 성사로 각각 공화국 영웅 칭호를 받아 ‘2중 공화국 영웅’이었습니다.

김정일과 개인적으로 단 둘이 술을 마시던 사이로 핵심 실세였던 류경을 제거해 보위부가 어린 김정은의 권력승계에 장애가 될 가능성을 미리 제거하려 했다는 겁니다.
한편 마키노 연구원에 따르면 당시 류경은 김정일로부터 순조로운 권력승계 작업을 위해 남북관계를 개선하라는 특명을 받은 상태였습니다.
이 때문에 한국 정부에 1차 판문점, 2차 평양 등 2차례에 걸쳐 남북정상회담이 가능하다고까지 제안하는 등 매우 적극적이었습니다.
그는 이같은 내용이 포함된, 김정은 권력승계를 집중 조명한 북한 관련 저서인 '북조선비록(문춘신서)' 을 이미 2013년 7월 발간했습니다.
한편 마키노 연구원은 당시 보도가 나간뒤 류경의 서울 방문을 ‘사실이 아니다’며 적극 부인했던 이명박 정부가 전직 대통령 회고록을 통해 이를 세밀히 설명하고 나선데 대해 어이없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그는 국가기밀이라면 끝까지 지키든지, 언론 보도에 대해 적극적으로 거짓말 해명에 나섰다가 퇴임 뒤 부랴부랴 회고록을 통해 이를 상세히 공개한 건 위선적이라고 꼬집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