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외교관 올 초 독일서 추방… 대사 문책 소환”

0:00 / 0:00

앵커 : 올 해 초 독일 정부가 북한 외교관 등 2명을 전격 추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독일 외교부는 이제껏 묵인해왔던 북한 외교관의 불법 외화벌이 가담을 이례적으로 문제삼았고 이를 막지못한 리시홍 독일주재 북한대사가 문책성 경질을 당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독일 정부가 이례적으로 북한 외교관 등 2명을 추방한 건 올 해 초.

복수의 현지 소식통은 6일 RFA, 자유아시아방송에 당시 독일에서 활동하던 북한 외교관 1명과 상사 주재원 1명이 현지 경찰의 집중 조사를 받은 뒤 추방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의 혐의는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았지만 주재국에서 외교관의 영리행위를 금지한 비엔나 협약 위반과 외화벌이 과정에서 독일 현지법을 어긴 점으로 알려졌습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독일 외교부는 리시홍 북한 대사를 직접 불러 이들에 대한 경찰 조사 결과를 설명하고 추방을 통보했습니다.

리 대사는 관행대로 현지 공관 운영에 필요한 경비를 마련하기 위해서였다는 점을 독일 측에 설명하고 양해를 구했겠지만 독일 당국의 결정을 뒤집지는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후 리 대사는 지난 달 말 전격 경질돼 북한으로 되돌아 갔습니다.

이 때문에 리 대사의 경질 배경이 이들의 추방을 막지 못한 데 대한 문책성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소식통은 독일정부가 이전까지 관행적으로 묵인해왔던 북한 외교관의 불법 외화벌이 가담에 대해 이례적으로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 북한 당국이 적잖이 당황했을 거라고 말했습니다.

북한으로선 독일의 이번 외교관 추방 조치가 선례가 돼 인근 유럽연합 국가들이 비슷한 조치에 나설 경우 공관 운영은 물론 외화확보에도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입니다.

북한 외교관이 대사관 운영 경비 마련과 외화벌이를 위해 불법으로 돈벌이에 나서는 건 독일뿐 아니라 많은 유럽 국가에서도 광범위하게 이뤄져 왔습니다.

따라서 이번 사건을 계기로 구 동구 공산권 지역을 중심으로 그 동안 유럽지역에서 공공연하게 이뤄졌던 북한 외교관들의 불법 외화벌이 관행에 제동이 걸릴지 주목됩니다.

독일 외교부는 이번 독일 주재 북한 외교관 추방과 관련한 자유아시아방송의 취재에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았습니다.

독일 외교부 관계자는 거듭된 질의에 ‘나는 듣지 못했다’ ‘확인해 보겠다’고만 대답했습니다.

독일정부는 일체 함구하고 있지만 올 들어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 발사 뒤 뚜렷해지고 있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강화 움직임이 이번 북한 외교관 추방 조치의 배경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