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함정 서해상에서 서로 사격

0:00 / 0:00

앵커: 북측 경비정 1척이 7일 오전 한때 남측의 북방한계선을 침범했습니다. 남측의 경고사격에 북측도 대응사격으로 맞받아 서해상에서 다시 한 번 불상사가 생길 뻔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7일 오전 9시50분께 북측 경비정 1척이 연평도 서방 NLL, 즉 북방한계선을 약 0.5노티컬마일, 그러니까 900미터 가량 침범합니다. 이에 남측 고속함 1척이 경고 통신과 경고 사격을 실시합니다. 북측도 대응사격을 했고, 이에 남측이 다시 대응사격을 가하는 일촉즉발의 상황이 이어졌습니다.

양측 함정 모두 포탄에 맞지는 않았습니다. 비록 피해는 없었지만, 남북 함정이 서로에게 사격한 것은 2009년 11월 10일 발생한 대청해전 이후 5년 만에 처음입니다.

또한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을 포함해 북측 고위급 인사 3명이 인천아시안게임 폐막식 참석차 남한을 다녀간 지 3일만에 발생한 일이어서 북측의 의도를 놓고 다양한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분석의 핵심은 북측이 남측의 대응 태세를 떠보려 한 것 같다는 점입니다.

김동엽 극동문제연구소 연구교수: 과거부터 북한은 주기적으로 교대 및 이동하는 함정을 이용하여 북방한계선 인근에서의 활동 및 월선을 통해 남측의 대응 태세를 확인해 왔는데, 이번에도 같은 맥락에서 발생한 일로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서로 사격할 당시 양측 함정간 거리는 대략 8.8㎞였습니다. 남측 함정은 최초 경고사격 때 사거리 12㎞인 76㎜ 함포 5발을 발사했고, 대응사격 때는 76㎜ 함포 10여발과 사거리 4~8㎞인 40㎜ 함포 80여발을 발사했습니다. 북측 함정은 기관총으로 추정되는 화기로 수십 발을 발사했습니다.

남측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북측의 기관총은 사거리가 짧아 해상에 떨어졌다”면서 “북측도 거리가 멀어서 남측 함정까지 날아가지 않는다는 점을 알면서 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남한의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남북 함정간 사격이 오간 것과 관련해 “상호 교전이 있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남측 군의 한 관계자는 “넓은 의미에서 교전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군사적으로는 살상을 목적으로 사격한 것이 아니라서 교전이 아니다”고 말했다고 남한의 연합뉴스가 전했습니다.

북측이 북방한계선을 침범하는 일은 자주 발생합니다. 가까운 예로, 지난달 19일에도 북한 단속정, 즉 어업지도선 1척이 서해 백령도 인근 북방한계선을 침범한 후 남측의 경고 사격을 받고 퇴각한 바 있습니다.

남측 합참 관계자는 “북한군 동향에 대해 감시를 강화하고 있으며, 만반의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