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미국의 로버트 게이츠(Robert Gates) 국방장관은 8일 권력 이양기에 들어선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을 거론하면서 한미 두 나라는 이러한 도발을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자세한 소식을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게이츠 장관은 이날 워싱턴 미국 국방부 청사에서 한국의 김태영 국방부 장관과 42차 한미 안보협의회(SCM)를 마친 후 기자설명회를 통해 한미 두 나라는 북한의 추가 도발을 결코 용인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게이츠 장관은 북한이 천안함을 공격한 배경과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 대해 많은 추정들이 나오고 있다면서 한미 국방 당국의 이날 회동은 북한의 도발을 결코 용인할 수 없다는 두 나라의 의지를 더 확고하게 만들었다고 말했습니다.
Gates
: There are a lot of speculation about the circumstances that lay behind the sinking of the Cheonan and whether other provocations may follow. I think that our meeting today should reinforce what we said: that provocations will not be tolerated.
게이츠 장관은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그의 삼남인 김정은에게 권력을 이양하고 있어 실제로 어떤 시점이 되면(at some point) 김정은이 북한의 지도자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이러한 권력 승계 움직임이 북한의 행동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더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함께 기자설명회에 참석한 한국의 김태영 국방장관도 최근 김정은을 김정일 위원장의 후계자로 공식화한 북한 노동당 대표자회를 거론하면서 이 같은 권력 승계를 둘러싸고 북한에서 불안정한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김 장관은 한미 양국은 북한에서 발생 가능한 모든 급변사태에 대해 만반의 준비 태세를 갖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김태영
: 한미 양국은 북한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상황에 대해서 대비하고 앞으로 준비하기로 합의했습니다. (ROK and US will prepare against all possible contingencies in North Korea)
김태영 장관은 또 남북관계의 진전을 위해서는 북한이 천안함 공격을 인정하고 이에 대한 사과와 함께 책임자를 처벌할 필요가 있으며 앞으로 이 같은 도발 행위의 재발을 방지하는 명확한 조치도 취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이날 한미 안보협의회에서 채택된 공동성명에는 처음으로 북한의 ‘불안정 사태’라는 문구가 명기됐습니다. 구체적으로 공동성명에는 한미 연합 방위태세가 북한의 “어떠한 도발, 불안정 사태 또는 침략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준비를 갖추고 있다”는 문구가 포함됐습니다.
또 한미 두 나라 국방장관은 공동성명에서 “천안함이 북한의 공작에 의해 침몰됐다는 공통된 인식을 재확인”하고 오는 11월 서울에서 열리는 G20, 즉 세계 20개 주요국 정상회의 때까지 “북한의 동향에 대한 연합감시 활동을 증대시켜 나가기로 했다”고 밝혀 이번 행사에 대한 북한의 방해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지를 구체적으로 명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