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고립 심화…주민 고통 더 커질 것”

0:00 / 0:00

앵커 : 북한이 이처럼 제4차 핵실험을 전격 단행하면서 국제사회로부터 고립이 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대북제재에 따른 북한 주민들의 고통이 커지는 것도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의 수소탄 실험 성공 발표 직후 국제사회는 6일 강력한 대북 규탄에 한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당장 유엔 등 국제사회의 대북 경제제재 강화 논의가 잇따를 전망입니다.

북한은 1~3차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 발사 등으로 국제사회로부터 이미 가장 강력한 제재 대상에 올라 있습니다.

일단 이번 사태로 북한의 국제사회로부터 고립이 심화되면서 주민들의 고통이 더 커질 전망입니다.

특히 중국까지 나서 추가 대북제재에 적극 동참할 가능성을 내비친 점에 미국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미국자연자원방어위원회(NRDC) 강정민 박사는 주목했습니다.

강정민 : 북한의 4차 핵실험이 중국을 자극했잖아요, 중국이 경제적으로 북한에 거리를 둔다든가 제약을 가하겠죠.

강 박사는 북한이 중국에 사전 통보조차 없이 수소탄 실험을 단행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강정민 : 그렇게 하지 말라고 계속 경고했는데도 불구하고 북한이 중국에 알리지도 않고 핵실험을 단행했으니까 일단은 중국으로부터 강력한 경고와 함께 경제적인 제재가 있겠죠.

강 박사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가 여러차례 강조해온 인민생활 개선을 위한 경제성장에도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반면 중국이 이번 4차 핵실험과 관련해 북한에 대해 계속 압박을 가하겠지만 양국 간 경제관계는 그대로 유지할 가능성도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습니다.

한 대북 소식통은 중국이 북한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겠지만 어디까지나 정치적 압박에 그칠 거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이 소식통은 북한과 경제관계 단절은 자칫 북한 내부를 큰 혼란에 빠뜨릴 수 있기 때문에 중국으로서도 쉽게 쓸 수 있는 카드가 아니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