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북한의 김정일 위원장이 국제사회의 핵 사찰단을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외교통상부는 북측이 그 같은 뜻을 명시적으로 밝힌 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김정일 위원장이 “국제원자력기구의 핵사찰을 수용할 의사가 있다”고 말한 걸로 알려졌다고 한국 언론이 보도했습니다. 중국의 다이빙궈, 그러니까 대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과 지난 9일 평양에서 회담했을 때 김 위원장이 이같이 말했다는 겁니다.
국제원자력기구 IAEA의 사찰단 수용은 북핵 6자회담의 재개를 위한 몇 가지 조건 중 하나를 북한이 충족하는 것이어서 상당한 관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한국의 외교통상부는 다이빙궈 위원과 김정일 위원장의 회담 과정에서 IAEA의 사찰단 복귀 문제가 논의됐다는 점을 중국 측으로부터 전해 들은 건 사실이라고 16일 말했습니다. 하지만 북중 간 협의 내용이 언론의 보도 내용과는 다르다고 김영선 대변인은 말했습니다.
김영선:
다만, 언론 보도와 같이 북한 측이 IAEA의 사찰관을 수용하겠다는 그런 의사를 명시적으로 밝힌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하고 있고…
한국 정부의 어느 당국자는 “북측이 사찰단을 수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는 수준의 답변을 한 것으로 안다”면서 “이는 구체성이 결여돼 있어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찰단의 완전한 복귀를 뜻하는지, 아니면 일시적인 방문을 뜻하는지가 명확하지 않은 데다 사찰 대상에 우라늄 농축 시설이 포함되는지 여부가 분명치 않다는 겁니다.
외교통상부의 김영선 대변인은 이 문제는 북중 간 협의 사안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언급을 하는 건 적절치 않다면서 구체적인 답변을 거부했습니다. 그러면서도 김 대변인은 6자회담의 재개를 위해서는 “북한이 비핵화를 위한 협의를 진전시키겠다는 진정성이 구체적인 행동과 실천으로 나타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지난해 4월 장거리 로켓 발사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비난 성명을 문제 삼아 영변 핵시설을 감시하던 IAEA 사찰단원을 추방한 바 있습니다.
한편, 일본의 아사히 신문은 한국과 미국, 일본의 외교장관들이 지난 6일 워싱턴에서 회담했을 때 6자회담 재개를 위한 다섯 가지 전제 조건에 합의했으며, 이를 중국 측에 전달했다고 15일자 기사로 보도했습니다.
다이빙궈 위원이 평양을 찾은 것도 다섯 가지 조건에 대한 북측의 의사를 타진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이 신문은 해석했습니다.
북측에 제시한 다섯 가지 조건은 우라늄 농축 계획의 중단과 국제원자력기구 사찰단 수용, 그리고 2005년 9.19 공동성명의 이행 등을 포함합니다. 나머지 두 가지 조건이 무엇인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