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6.15공동선언 15주년과 광복 70주년을 맞은 올해 남북관계는 모처럼 대화의 기회를 맞았지만, 내내 신경전을 이어오면서 남북관계는 오히려 더 나빠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악화일로를 치닫고 있는 남북관계를 노재완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광복 70주년을 맞아 개선될 것으로 보였던 남북관계는 광복절을 두 달 여 앞두고도 나아진 게 없습니다.
북한은 모든 것을 남한 정부 탓으로 돌리고 있습니다. 결국엔 남북 민간단체가 합의했던 6.15 남북공동행사를 무산시켰습니다.
나아가 8.15 남북공동행사에 대해서도 “정치색을 배제한 순수한 민간행사로만 치러지는 것에 대해 반대한다”며 남한 정부와 마찰을 빚었습니다.
임명철 통일부 대변인 : 북한이 반드시 정치적인 내용이 고려돼야 된다는 그런 주장은 우리 정부가 견지하고 있는 기본 입장과 맞지 않습니다.
북한은 이어 지난 4일 남한의 국제철도협력기구(OSJD) 정회원 가입을 반대했습니다. 지난 3일에는 남한의 신형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두고도 맹비난했습니다. 안 그래도 싸늘하던 남북관계가 더욱 냉각됐습니다.
한 가닥 희망을 걸었던 광주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마저 북한의 출전 여부가 불투명해지면서 분위기 반전의 기회도 사라졌습니다. 여기에 해결될 것으로 보였던 개성공업지구 북측 근로자 임금 문제까지 답보상태에 있습니다.
이런 분위기에서 광복 70주년과 관련한 남북 대화가 열리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김광인 코리아선진화연대 소장 : 북한이 현재 남북관계에서 기대하는 것은 5.24조치 해제 같은 것일 텐데요. 현재 상황으로 보면 그럴 가능성은 매우 낮죠. 이렇게 되면 8.15남북공동행사는 무산될 가능성이 큽니다.
설상가상으로 오는 8월엔 북한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을지프리덤가디언’ 한미 군사훈련이 예정돼 있습니다. 북한이 이를 빌미로 광복 70주년 남북공동행사도 무산시킬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이후 북한에선 정권 수립일인 9.9절 행사가 있고, 10월엔 노동당 창건 행사가 이어집니다. 노동당 창건 행사의 경우 올해가 70주년을 맞는 만큼 기념일을 전후해서 핵실험이나 장거리미사일 시험발사 등 ‘대형 도발’이 있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김용현 동국대 교수 : 현재 상태로 남북관계가 지속된다면 하반기 역시 남북관계의 전망은 좋지 않습니다. 특히 당 창건 기념일을 하는 과정에서 북한이 무력시위를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갈수록 꼬여가는 남북관계. 남북 당국 간 접촉은 물론 민간교류마저 급속히 위축돼 있어 얽힌 실타래를 풀기는 간단치 않아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