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도 북 핵개발 우려 동참”

박근혜 대통령과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이 2일이 오전(현지시간) 테헤란 사드아바드 좀후리궁에서 정상회담에 앞서 사전 환담을 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과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이 2일이 오전(현지시간) 테헤란 사드아바드 좀후리궁에서 정상회담에 앞서 사전 환담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0:00 / 0:00

앵커: 이란의 하산 로하니 대통령은 핵무기가 없는 한반도를 원한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의 우방인 이란도 북한 핵개발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에 동참했다는 지적입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이란의 로하니 대통령은 이란을 국빈 방문한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과 2일 테헤란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기자들과 만나 한반도의 변화를 원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핵무기를 비롯한 대량살상무기가 없는 한반도를 원한다는 말로 북한의 핵포기를 사실상 촉구했습니다.

로하니 대통령:한반도나 중동에서 대량살상무기, 핵무기를 없애자는 것이 이란의 기본 원칙입니다.

함께 기자회견에 나선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은 이란 측이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저는 북핵 불용 및 북한 비핵화 문제와 관련해 우리 정부의 입장을 설명하였고 최근 북한의 핵실험에 따른 안보리 결의의 충실한 이행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박 대통령은 앞서 지난 1일 이란 국영신문사 인터뷰에서도 이란 등 국제사회와 긴밀하게 협력해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깨닫도록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일각에서는 이번 한국과 이란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국제사회에서 북한의 고립이 더 심화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과거 북한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온 이란이 북한과는 달리 최근 서방과 핵 협상을 타결했을 뿐 아니라 북핵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에도 동참하면서 한국과의 대규모 경제협력에도 나설 계획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간 미사일 등 무기 개발과 관련해 긴밀히 공조해 온 이란과 북한의 관계가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급격히 소원해 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미국 해군분석센터(CNA)의 켄 고스 국제관계국장의 말입니다.

고스 국장: 이란과 북한의 관계는 당분간 별 변화 없이 지속될 것으로 봅니다...하지만 만일 이란과 북한의 관계가 소원해진다면 북한의 무기개발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한편 미국 국무부 측은 2일 로하니 이란 대통령의 한반도 비핵화 지지 발언을 환영하느냐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문에 특별히 언급할 게 없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