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의 존 케리 국무장관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행동을 바꾸기 위해 유엔 안보리 결의를 통한 대북 압박에 앞장섰다고 밝혔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케리 국무장관은 10일 미국 평화연구소(USIP)에서 열린 정권 인수인계 관련 토론회(Passing the Baton 2017)에 참석해 오바마 행정부가 미국 역사상 동시에 가장 많은 전 세계 갈등과 분쟁에 개입했다고 말했습니다.
그 가운데 중국과 협력해 북한 문제도 다뤘는데 오바마 행정부는 핵개발을 일삼고 있는 북한을 변화시키기 위해 대북 압박에 앞장섰다는 것입니다.
케리 장관 : 김정은의 행동 변화를 유도할 대북 압박을 위해 미국이 대북제재 결의 채택을 주도했습니다.
케리 장관은 거듭 중국이 북한 문제 해결에 더 많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날 함께 토론회에 참석한 수전 라이스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북한을 미국이 직면한 다양한 위협 중 하나로 꼽았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이 유엔 사상 가장 강력한 대북 제재결의를 도출해 내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고 강조했습니다.
메들린 올브라이트 전 국무장관은 이날 토론회에 참석해 미국의 차기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 정책이 오바마 행정부와 어느 정도 연속성이 있어야 한다고 권고했습니다.
올브라이트 전 장관은 과거 대북 협상을 진행 중이던 클린턴 행정부가 끝나고 부시 행정부가 들어서 갑자기 협상을 중단한 결과 현재 심각한 북한의 위협에 직면한 상황을 지적했습니다.
이러한 북한 문제가 바로 정책 단절의 부작용을 보여주는 예라는 설명입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의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으로 지명된 마이클 플린 예비역 육군 중장도 이날 행사에 참석해 미국이 처한 여러 도전을 해결하는 데 있어 동맹국과의 협력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에 대한 언급은 따로 내놓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