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남, 김정은에 ‘생활비 지원’ 요청한 바 있어”

0:00 / 0:00

앵커: 그동안 김정남이 북한의 막대한 비자금을 가지고 있어 경제적으로 풍족하게 살고 있다는 보도가 많았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김정은의 김정남 암살 동기를 여기서 찾기도 하는데요. 하지만 김정일 사망 직후 김정남은 상당한 자금 압박을 겪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김정남이 김정은에게 생활자금 지원을 요청한 바 있다”고 유동열 자유민주연구원장이 말했습니다. “김정남이 막대한 비자금을 당국에 돌려주지 않아 암살당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한 반박입니다.

유 원장은 하태경 바른정당 의원실이 27일 서울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한 ‘김정남 암살과 북한테러 대응’이라는 토론회에서 “김정남이 해외에서 정보 기술 관련 사업을 벌이며 막대한 자금을 보유했던 것은 사실이지만 김정일 사망 이후 경제 사정이 어려워졌다”고 지적했습니다.

유동열 자유민주연구원장: 김정남이 2012년 4월 김정은에게 보낸 편지 끝부분에 이런 내용이 나옵니다. 국가정보원은 최근 김정남이 김정은에게 보낸 편지 내용을 공개했지만 "생활비 지원을 부탁한다"라는 부분은 밝히지 않았습니다. 이를 보면 김정남이 막대한 비자금 때문에 암살당했다는 주장은 말도 안 되는 이야기입니다.

지난 15일 남측 국가정보원은 국회 정보위원회를 통해 김정남의 편지 내용 일부를 공개한 바 있습니다. 국회 정보위의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간사는 “김정남은 김정은에게 자신과 가족을 살려달라는 서신을 보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김정남의 경제 사정이 좋지 않다”는 언급은 하지 않았습니다.

이와 관련해 유 원장은 “김정남은 정보 기술 사업 등을 통해 축적한 돈으로 현재까지 생활했지만 암살당할 정도의 막대한 자금은 없었을 것”이라면서 “또한 김정일 사망 이후 뒤를 봐주던 장성택과 김경희의 자금지원도 끊기면서 풍족한 생활을 하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국가정보원은 27일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정남 사건은 국가보위성과 외무성 등 북한 당국이 조직적으로 주도한 테러”라고 규정했습니다. 국정원으로부터 관련 보고를 받은 이철우 국회 정보위원장에 따르면 김정남 살해 용의자 8명 가운데 4명은 국가보위성, 2명은 외무성 소속입니다.

김정남 사망 소식을 접한 북한의 상류층은 큰 충격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병기 국회 정보위 더불어민주당 간사는 “김정남이 김정일의 장남이라는 사실을 처음 알고 충격을 받았다는 반응이 많았다고 들었다”면서 “김정남 사망 소식은 북한 사회에서 서서히 전파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