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개성공단 실무회담 제의

0:00 / 0:00

앵커 : 한국 정부가 북한에 개성공업지구 문제 해결을 위한 실무회담을 공식 제의했습니다. 그런데 26일 오전까지 회신을 요구하면서 북한이 회담을 거부할 경우 중대한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개성공업지구의 생산활동이 멈춘 지 벌써 보름을 넘어섰습니다. 아무런 변화 없이 시간만 계속 흘러가고 있습니다.

식자재와 의약품 공급마저 끊기면서 공업지구에 남아 있는 남한 근로자들의 생활도 이젠 한계에 이르렀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견디다 못해 한국의 통일부가 24일 대변인 성명을 통해 북한에 대화를 제의했습니다. 지난 11일 1차 대화 제의 때와 달리 공식적으로 의제를 담고 회신 날짜까지 정했습니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 : 우리 정부는 오늘 4월 25일 개성공단 근무자들의 인도적 문제 해결과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책임 있는 남북 당국 간 실무회담 개최를 북한 당국에 공식적으로 제의합니다. 북한 당국은 내일 4월 26일 오전까지 우리의 당국 간 실무회담 제의에 대한 입장을 회신해 줄 것을 요구하는 바입니다.

방금 들으신 것처럼 통일부 대변인의 어조에는 결연함이 묻어 있습니다.

통일부는 또 북한이 회담을 거부하면 중대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를 두고 일부에서는 최후통첩이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그러나 통일부는 중대 조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김형석 대변인 : 우리가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다만, 상상하실 수 있는 것처럼 북한이 우리의 공식적인 회담 제의를 거부한다면 여러 가지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고, 그에 따른 여러 가지 가능성을 염두에 둔 말씀입니다.

현재 개성공업지구에는 170여 명의 남한 근로자들이 있습니다. 이들의 체류도 이번 주가 고비가 될 전망입니다.

입주 기업들은 인도적인 차원에서 식자재와 의약품 반입만이라도 해달라고 연일 호소하고 있습니다.

통일부는 기업인들의 입장을 고려해 전날에도 북한 측 중앙특구개발총국장에게 사태 해결을 위해 면담을 신청했지만, 북한이 이를 거부했습니다.

통일부의 이번 공식 회담 제의에 북한이 어떤 답을 내놓을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