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개성공단 체류인원 전원 철수”

0:00 / 0:00

앵커 : 개성공업지구 문제 해결을 위한 남한의 회담 제안을 북한이 거부한 가운데 남한의 통일부가 공업지구 잔류 인원에 대한 철수를 결정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개성공업지구를 둘러싼 남북 간의 치열한 신경전이 벌어졌습니다.

남한의 당국자 회담 제의에 북한이 26일 오후 2시경 국방위원회 대변인 담화를 통해 이를 거부하자 남한 정부가 4시간 후인 오후 6시쯤 성명을 통해 입장을 밝혔습니다.

류길재 통일부 장관 : 북한의 부당한 조치로 개성공단에 체류하는 우리 국민들의 어려움이 더욱 커지고 있는바, 정부는 우리 국민 보호를 위해 잔류인원 전원을 귀환시키는 불가피한 결정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한국 정부가 일단 자국민 보호 차원에서 공업지구 잔류 인원에 대한 철수를 결정한 만큼 북한도 상응하는 조치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예상되는 것은 공업지구 내 남한 자산의 압류입니다. 이 경우 금강산관광지구처럼 장기 폐쇄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때문인지 류 장관은 성명에서 “북한 당국이 입주 기업들의 재산을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류길재 : 북한 당국은 남북 간 기존 합의와 개성공단 관련 법령에 근거하여 우리 국민의 안전한 귀환을 보장하고, 입주 기업들의 재산을 철저히 보호해야 할 것입니다.

통일부의 성명이 나간 뒤 개성공업지구 입주 기업들은 “공업지구에서 주재원들을 철수시킬 생각이 없다”며 “남북이 합의한 50년간 투자 보장을 확고히 지키겠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북한은 국방위원회 대변인 담화에서 “남측이 기만적인 당국간 회담설이나 내돌리며 최후통첩식 중대조치라는 것을 운운해 댄다면 그것은 최후 파멸만 촉진케 할 뿐”이라며 남한 정부를 비난했습니다.

그러면서 “공업지구 내 남한 체류 인원의 생명이 걱정된다면 전원 철수하면 될 것”이라며 철수 과정에서 신변안전 보장도 약속했습니다.

남북경제협력의 상징인 개성공업지구가 풍전등화의 위기에 놓여 있습니다.

한국 정부가 예고한 대로 중대조치를 발표한 만큼 북한의 대응에 따라 공업지구의 운명도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