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측이 개성공단에 마지막까지 체류하던 남측 인력 50명 가운데 43명에 대해서만 29일 밤 귀환을 허용했습니다. 나머지 7명은 '미수금 정산'과 관련한 협의를 위해 당분간 개성공단에 머물기로 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개성공단 체류 인원의 전원 철수를 추진하던 한국 정부의 계획에 차질이 생겼습니다. 북측이 “미수금 정산 처리”를 요구해 남측 인원 7명이 남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이들 7명은 홍양호 위원장을 포함한 개성공단관리위원회 직원 5명과 통신 담당 직원 2명입니다.
통일부 관계자는 “북측이 요구하는 미수금은 남측 입주기업의 임금이 대부분으로 북측과 세부 내역과 지급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협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한 후 잔류 인원은 귀환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북측 근로자 5만3천여명은 개성공단 통행 차단으로 남측 현금수송 차량이 공단에 들어가지 못하는 바람에 3월 임금을 지급받지 못한 바 있습니다.
북측이 미수금을 받고자 한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일각에서는 북한 지도부가 개성공단 폐쇄를 염두에 두고 있는 듯 하다는 추정이 나왔습니다.
또한 한국 정부도 “잘못된 행동에는 보상하지 않는다”는 강경 입장을 유지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오전에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서로의 합의가 일순간에 물거품이 되는 상황"이라며 "이제 세계 어느 누가 북한에 투자를 하려고 하겠느냐"고 지적했습니다.
같은 날 서울에서 열린 국제회의에 참석한 홍용표 청와대 통일비서관도 "개성공단 문제는 분명히 북한이 잘못 한 것이기에 당장 해결을 위해 양보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처럼 개성공단 운영의 파행을 둘러싸고 남북 모두가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어 당분간은 공단이 정상화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평가입니다.
하지만 현상황이 공단의 폐쇄로 이어진다고 단정하긴 어렵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남이나 북이나 모두 개성공단 폐쇄까지도 불사할 듯한 태도로 굉장히 단호하게 임하는 측면이 있지만, 서로가 여운을 남기고 있다는 측면에서 아직까지는 개성공단 폐쇄를 단정적으로 이야기하기에는 이르지 않나 생각합니다.
한편, 한국 정부는 이날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지원책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 합동 대책반'을 출범했습니다.
대책반의 이날 오전 회의에서는 입주기업 피해 최소화, 가능한 범위 내 최대 지원, 그리고 수립한 방안의 신속 시행 등 3가지 원칙을 마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