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부당조치 철회가 개성공단 해법”

0:00 / 0:00

앵커: 개성공단 문제의 해법은 북한이 부당 조치를 철회하는 것뿐이라고 한국의 통일부가 밝혔습니다. 부당한 요구는 "눈곱만큼도" 들어줄 수 없다는 류길재 장관의 하루 전 발언을 재확인한 셈입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현재의 개성공단 사태는 북한이 통행을 제한하고 북측 근로자를 일방적으로 철수한 게 그 발단이라고 한국의 통일부는 1일 규정했습니다. 따라서 문제를 해결할 당사자도 북한이라는 게 통일부의 입장입니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 개성공단 문제와 관련해서 기본 본령은 부당한 조치를 취한 북한에게 있고, 또 북한이 하루 빨리 이러한 자신들의 부당한 조치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 부분에 대한 정상화 조치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김 대변인의 발언은 “북한의 변화 없이는 개성공단 정상화도 없다”는 박근혜 정부의 원칙을 재확인한 셈입니다.

류길재 통일부 장관도 하루 전 서울에서 열린 한 특강에서 “한국이 수용할 수 없는 요구를 나중에 눈곱만큼이라도 들어주는 것으로 개성공단이 정상화된다면 그건 의미가 없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다만 통일부는 “여전히 대화의 문이 열려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대변인은 “한국 정부의 대화 제의는 여전히 유효하다”면서 “북한 당국이 심사숙고해서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올바른 변화의 길로 나오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홍양호 개성공단관리위원장을 비롯해 공단에 남아 있는 남측 인원 7명은 북측 근로자들의 3월분 미지급 임금과 세금 정산 문제 등을 놓고 이날도 북측과 협상을 계속 벌였습니다.

한국 정부는 개성공단 내 남측 인원을 29일 전원 철수할 계획이었지만, 북측이 미수금 해결을 요구하자 “남북합의를 존중하고 이행하는 것을 몸으로 보여준다는 차원에서” 7명이 남아 실무협의를 지속하고 있다고 김형석 대변인은 설명했습니다.

김 대변인은 또 “미수금 총액에 다소 변동이 있다”면서, "생각만큼 속도는 나고 있지 않지만 간격이 좁혀지는 만큼 협상이 마무리되면 이들을 조속하게 귀환시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