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 정부는 개성공단 운영 중단으로 피해를 입고 있는 남측 입주기업들에게 총 3천억원, 그러니까 미화로 2억7천200만 달러를 우선적으로 지원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이 직면한 가장 큰 고충은 이른바 ‘유동성’ 부족입니다. 현금이 부족하다는 뜻입니다. 공단 운영이 중단됐으니 생산한 물건을 팔아서 현금화할 수 없게 됐기 때문입니다.
한국 정부는 입주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인건비와 재료비 등으로 쓸 수 있도록 이른바 ‘운전자금’을 1단계로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지원 액수는 남북협력기금 특별대출 630억원과 중소기업 창업 및 진흥기금 1,000억원 등을 포함해 총 3천억 원, 그러니까 미화로 2억7천200만 달러 규모입니다. 금리는 각각 2%입니다.
서호 통일부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 정부합동대책반은 오늘 1단계로 입주기업들에 대한 긴급 유동성 지원을 위해서 현 단계에서 정부가 최대한 마련할 수 있는 총 3,000억원 규모의 운전자금을 신속히 지원하기로 하였습니다.
지원 신청은 오는 6일께부터 수출입은행 등을 통해 이뤄질 예정입니다.
현재로서는 기업별로 받을 수 있는 최대 액수는 10억 원, 즉 미화로 90만 달러 가량입니다. 정부는 피해상황에 대한 실태조사를 거쳐 필요할 경우 상한선 조정을 검토할 방침이라고 서호 단장은 설명했습니다.
통일부는 1일부터 남북협력지구지원단을 통해 입주기업에 대한 실태조사에 착수했습니다.
서호 단장은 건물과 기계설비 같은 투자자산에서 발생하는 손실보다는 생산중단과 완제품 미반출 등에 따른 영업 손실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2단계 지원 계획으로 한국 정부는 남북협력기금 경협보험자금 3,000억원, 미화로 2억7,100만 달러 규모의 자금 지원을 추진 중이며, 추경예산안에 포함된 중소기업진흥기금을 통한 정책자금이 국회의 심의를 마치는 대로 바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한 지원 대책을 마련 중입니다.
한국 정부는 개성공단 운영 중단 이후 입주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국무조정실장을 단장으로 각 부처 차관들로 구성된 정부합동대책반을 운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