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개성공단 최소 전기만 공급”

0:00 / 0:00

앵커 : 개성공업지구에 체류했던 남한 인력이 지난 3일 전원 철수했는데도 한국 정부는 공업지구에 공급하던 전기를 중단하지 않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가 개성공업지구에 대한 전기 공급 문제를 시간을 두고 검토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류길재 통일부 장관은 6일 오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출석해 “정부가 단전, 단수 조치에 대해 결정을 내렸는가”라는 질문에 “아직 정부가 공업지구에 대한 단전, 단수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고 답했습니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도 이날 정례회견에서 “현재 개성공업지구에 필요한 최소 전력만 공급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김형석 : 우리 한전 직원도 돌아왔습니다. 그래서 관리 인원은 없습니다만, 물리적으로는 전기가 흘러가는데 결정적 장애는 없습니다.

현재 남한에서 개성공업지구로 공급되는 전력량은 하루 3천kW 안팎입니다. 정상 가동시의 10분 1 수준에 불과합니다.

이 전력량으로 공업지구 내 조명과 정배수장은 정상 가동되고 있다고 통일부는 밝혔습니다. 때문에 전기가 끊기면 공업지구 내 물 공급도 자동으로 끊깁니다.

현재 개성공업지구에 제공되는 식수는 공업지구뿐 아니라 개성시 일반 가구에도 공급되고 있어 단수 조치가 이뤄지면 개성시 가구의 4분의 1 정도가 식수난을 겪는다는 게 공업지구 관계자들의 설명입니다.

한국이 단전 조치를 취한다면 이는 사실상 공업지구의 완전 폐쇄를 의미하는 것이란 분석도 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한국 정부가 전기 공급을 끊지 않는 것에 대해 북한과의 협상의 여지를 남겨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은 개성공업지구가 남북관계 신뢰의 시금석이라고 여러 차례 밝힌 적이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한국 정부는 당분간 북한의 변화를 기다리며 전기 공급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 : 북한의 부당한 조치가 철회되고, 개성공단이 올바르게 갈 수 있도록, 그리고 남북간 합의가 존중되는 방향에서 될 수 있도록 하는 북한의 변화가 중요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한편, 북한은 개성공업지구 사태의 책임을 한국에 떠넘기면서 비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북한은 4일 자 노동신문에서 “공업지구가 폐쇄될 경우 전적으로 남한이 책임져야 하며, 한반도 긴장 상태가 풀리려면 남한이 대북 적대 정책부터 끝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