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박근혜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통일부가 14일 오후 개성공업지구 문제 해결을 위한 남북 당국 간 실무회담을 제안했는데요. 이에 대한 북한의 반응이 주목됩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박근혜 대통령의 남북 당국 간 회담 지시는 14일 오전 청와대 국무회의에서 나왔습니다.
박근혜 : 기업들의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통일부는 북한 측에 이와 관련된 회담을 제의하기 바랍니다.
박 대통령의 이 같은 지시가 내려지자 통일부는 이날 오후 곧바로 북한에 회담하자고 공식 제안했습니다.
통일부는 대변인 성명을 통해 “남측에서는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 등을 포함한 3명의 회담대표가 나갈 것이며, 북측에서도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장 등의 회담대표가 나오기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회담 장소는 판문점 남측 지역 평화의 집에서 개최하며, 회담일정과 관련해서는 조속한 시일 내에 북측이 편리한 방법으로 남측에 답변해 주면 된다”고 통일부는 덧붙였습니다.
개성공단기업협회는 통일부의 이번 회담 제안에 환영을 표시하고 성공적인 회담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입주 기업 대표는 “남북이 합의한 50년간 투자 보장이 확고하게 지켜지기를 바란다”며 “공업지구 안에 있는 기업들의 재산도 포기하지 않고 지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지난 3일 공업지구에 끝까지 남아 있던 남한 인력 7명을 귀환시키면서 북한 측에 미수금 명목으로 1천300만 달러를 전달했습니다.
그러나 당시 입주 기업들의 완제품과 원부자재 등은 가져오지 못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반출 문제를 추후 협의하자고 북한 측에 제안했지만, 열흘이 지난 지금까지도 북한 측은 아무런 입장을 보내오지 않고 있습니다.
홍순직 현대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 : 한미 해상훈련이 진행되고 있고, 개성공단도 이미 잠정 중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바로 대화가 이뤄지기는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직접 개성공업지구 문제를 꺼낸 만큼 북한 당국도 그냥 넘기기는 어려울 것이란 의견이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개성공업지구 사태의 책임을 지고 김격식 인민무력부장이 자리에서 물러났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 경우 북한 당국이 회담에 적극 임할 가능성도 없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