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개성공업지구 정상화를 위한 첫 남북공동위원회가 2일 열렸지만, 공업지구 재가동 시점에 대해선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습니다. 남북은 오는 10일 2차 회의에서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개성공업지구 종합지원센터에서 열린 남북공동위원회 1차 회의는 오전 10시에 시작해 오후 10시가 넘어서야 끝이 났습니다.
두 차례 전체회의와 4차례 위원장 간 접촉 등 모두 6차례 걸친 회의를 열었지만, 관심을 모았던 공업지구 재가동 시점은 합의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북측은 우선 공업지구를 재가동한 뒤 재발 방지책을 마련하자는 입장인 반면 남측은 제도적 장치 보완에 진전이 있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습니다.
김기웅 남측 공동위원장 : 서해 군 통신선이 복구되고 이를 토대로 기반시설이 정비되는 한편, 제도개선 부분에서 진전이 있어야 한다.
남북은 오는 10일 개성공단에서 공동위원회 2차 회의를 열고 공업지구 재가동 시점과 피해 보상 문제 등 협의를 끝내지 못한 사안에 대한 논의를 계속하기로 했습니다.
이로써 추석 전 이뤄질 것으로 보였던 공업지구 재가동은 사실상 어려워졌습니다.
남북경협 전문가들은 부분적인 재가동의 경우 추석 이후에 가능하고, 전면적인 재가동은 10월 중순쯤부터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남북은 공업지구 재가동 시점을 놓고는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지만, 공동위 산하 4개 분과위원회의 일정과 논의 사항에 대해선 합의를 이끌어 냈습니다.
이에 따라 투자 보호와 관리운영, 국제 경쟁력 분과위원회 회의는 4일, 통행 통신 통관과 출입 체류 분과위원회 회의는 5일, 개성공업지구에서 각각 열기로 했습니다.
특히 남측이 강조한 서해 군 통신선 복구는 5일 열리는 출입체류 분과위원회에서 다뤄질 예정입니다.
서해 군 통신선은 북한이 지난 3월 일방적으로 단절했지만, 여전히 광케이블이 연결돼 있어 북측의 의지만 있으면 언제라도 재가동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남북은 앞으로 개성공업지구 발전을 위해 분기마다 만나 공동위원회를 열고 또 매달 분과위원회를 개최할 계획입니다.